글로컬 오디세이‘진짜 브렉시트’가 시작됐다 [글로컬 오디세이_ 한국외대 EU연구소]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한국어로 세방화(世方化)라고 번역되기도 하는 이 말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방... 유만선의 \'공학자가 본 세상\'나사가 디즈니 채널과 손잡은 이유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연구관으로 일하고 있는 유만선 박사가 월1회 칼럼을 연재한다. 유 박사는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첨단 기술 관련 콘텐츠를 개발하고 확산하는 일을 하고 있다. 그는 지... 학술·연구‘재난’에 맞서는 학문 … “전문가 역할 강화” [15개 학술단체 2021년 주요 계획과 진단] ‘문명사적 전쟁’ 규정…대안·문제해결 강조올해 학술계는 팬데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학문적 역량을 발휘해 ‘전문가 역할’을... 기사 더보기
여전히 시대의 모범인 ‘퇴계 이황의 편지’ 중국뿐 아니라 조선시대에도 유명인의 편지를 따로 묶어 낸 자료는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퇴계의 편지모음집은 단연 풍부하여, 『이자서절요』, 『양선생왕복서』, 『사문수간』, 『퇴계선생서절요』, 『퇴서유집』, 『자성록』과 18세기 일본 학자 스구리 교쿠수이가 ... SNS와 '코로나19 스트레스,' 연관 있을까 744명 설문으로 알아본 4가지 스트레스 유형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가 사람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SNS사용 빈도·월소득·삶에 대한 만족감 등 여러 요인들로 분석한 결과 크게 4가지 군집으로 분류됐다. SNS사용이 높은 군집은 코로나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것으로... 전자 현미경, 더 정확해진다 박우성 숙명여대 교수(기계시스템학부·사진) 연구팀이 전자현미경에서 전자가 빛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며 물체를 투사할 때 발열이 생기는 원리를 밝혀냈다. 현대과학에서 전자현미경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아래와 같이 과학 뉴스나 잡지에서 흔히 보는 초... ‘격리’, 만능 아니지만 가장 오래되고 효과적인 대책 ‘SF’는 ‘과학소설(Science Fiction)’을 뜻한다. 이전까지 허구와 상상력은 소설이나 영화뿐 아니라 과학에서도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여기서 쓰려는 ‘SF’는 과학 따라잡기 혹은 과학과 친구맺... 지방대 57% 경쟁률 3대 1 안 돼···‘학령인구 감소’ 탓 수시 이월 인원 증가와 수험생 수 감소 현상이 맞물려 서울대를 제외한 대다수 대학 경쟁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권 소재 대학에서는 미달이 속출해 신입생 모집에 비상이 걸렸다. 종로학원 하늘교육의 ‘2021학년도 전국 정시 경쟁률 분석’에 따르면 전국 17개 대... [타임라인] 4년간 총리 3명 갈아치운 브렉시트史 석탄철강공동체 6개국에서 유럽연합 28개국(영국 탈퇴 전 기준)까지 70여년간 거침없이 달려오던 유럽통합의 열차를 영국이 멈춰 세웠다.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의 정치 도박으로 시작된 2016년 국민투표 이후 총리 3명과 조기총선 2번을 거쳐 영국은 완전한 브렉시트에 이르... 중동지역 몰아친 트럼프의 '아브라함 협정' [글로컬 오디세이_ 단국대 GCC국가연구소]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한국어로 세방화(世方化)라고 번역되기도 하는 이 말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방화(Localization)의 합성어로 ‘세계적 경제 시스템의 통합과 지역별 정치문화의...
실시간 출판계, 출판사-저작권자 '통합 표준계약서' 첫 제정 WHO "코로나19 백신 95%, 10개국에만 배분" "등록금 인하" 부산대 총학 등록금심의위 참석 재차 보이콧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문미옥(文美玉) 원장 선임 경남도립거창대학, 국제 뷰티아트·디자인 공모전 금상 수상
[대학원생모집] 충북대, 2021학년도 정시대학원 신입생 추가모집 [교수초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채용 공고 [교수초빙] 청주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특별채용(3차) 공고 [교수초빙] 인하공업전문대 2021학년도 1학기 정년트랙 전임교원 초빙(2차) 안내 [대학원생모집]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학년도 1학기 제2차 신입학 일반전형 모집안내 [교수초빙] 국립한국교통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2차) 전임교원 신규채용 초빙 공고 [교수초빙] 국민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초빙
출판계, 출판사-저작권자 '통합 표준계약서' 첫 제정 WHO "코로나19 백신 95%, 10개국에만 배분" "등록금 인하" 부산대 총학 등록금심의위 참석 재차 보이콧 프랑스 싱크탱크 "중국군의 서방 반도체 기술 사용 차단해야"
많이 읽은 기사 1한국산업기술대, 정시모집 결과 정원 내 1,882명 지원, 경쟁률 4.72대 1 2“수요자 중심 교육이 미래대학의 경쟁력 될 것” 3디지털 전환시대 교육정보화 성과 담아낸 『교육정보화백서』 발간 4‘지능형(AI) 정부’와 ‘데이터 댐’...한국판 뉴딜 위한 중요 과제 5한국산업기술대, 제14회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금상 수상 6아주대 3개팀, 세계 최대 정보기술·가전 박람회 CES 2021 참가 7지방대 57% 경쟁률 3대 1 안 돼···‘학령인구 감소’ 탓 8앞으로 수소 생산 저렴해진다 9"대학, 이대로 가면 향후 10년 더 어렵다" 10‘진짜 브렉시트’가 시작됐다
기획시리즈 글로컬 오디세이 [용어풀이] 중동을 중재한 순간들 양진오의 거리의 대학 원도심의 재발견 … 배움 공동체로 이어진 놀라운 나비효과 김재호의 Science Follow ‘격리’, 만능 아니지만 가장 오래되고 효과적인 대책
우리 대학을 소개합니다 일반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예비산기인을 위한, 산기대 재학생이 답하는 산기대 Q&A! 전문대 [경인여자대학교] 경인여대 간호학과, 무엇이 궁금해? 사이버대 [영진사이버대학교] 2021학년도 대학 소개
일반대 전북대 공과대학 14개 학부, 공학교육인증 획득 공주대, 한국어 연수과정 수료식 개최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인도의 보건의료’ 콜로퀴엄 안동대, 사회적 버팀목이 됐던 경상북도 생활치료센터 운영 종료 이화여대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재학생팀, 시각장애인 위한 인공지능 길찾기 안내로봇 개발
한국외대 인도연구소 HK+ 사업단, '제2회 한-인 2030' 포럼 개최 성신여대 직원 일동, 자선바자회 기부금 전달 김의태 제주대 교수, 네이처에 단순포진바이러스 논문 게재 중국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한 전남대 『중국문학과 화문문학』 대구한의대·일본 시마네현립대, 국제교류 프로그램 진행
전문대 경남도립거창대학, 국제 뷰티아트·디자인 공모전 금상 수상 서울예대·라바웨이브,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 협약 맺는다 한국영상대, TJB대전방송 공동제작 콘텐츠 ‘영남이공대학교, ㈜위니텍과 산•학 협동 협약 가져’ 청암대, 코믹스브이와 ‘콘텐츠 인재’ 양성한다
한국영상대,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우수 상담기관’ 선정 충청대, 온텍트로 평생직업교육 사업성과 교류 '1천362명 중 909명 취업'…전주비전대, 전문대 취업률 1위 신성대, 충남․충북․세종 전문대학 ‘취업률 1위’ 달성 구미대, 지역 청소년 진로탐색 교육부장관 표창
사이버대 사이버한국외대, 2021학년도 1학기 신·편입생 모집 14일 마감 원광디지털대 심리상담센터, ‘실시간 화상상담’ 신설 세종사이버대, 인기 웹소설 작가 천지혜 특강 연다 고려사이버대, 2021학년도 1학기 정시 신·편입생 모집 12일 마감
동정 / 인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문미옥(文美玉) 원장 선임 강주현 김포대 겸임교수, '재활뉴스' 전문위원 위촉 윤정현 동아대 박사과정생, ‘BB21 플러스 온라인 학술대회’ 우수상 이혜령 지스트 박사과정생, ‘제9회 싱가포르 GYSS 한국 대표’ 선정 한국몽골학회 회장에 박소현 영남대 교수
학술 / 연구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 5개국 국제학술대회 결과보고 숙명여자대학(총장 장윤금)의 교양교육연구소(소장 황영미)는 지난 1월 9일(토)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국가별 대학교양 교과목 및 교재 개발 현황과 비전’이... 한양대 로봇설계공학연구실, CES02021에서 개인용 서비스 로봇 플랫폼 2종 공개 부산대 개발 연료절감형 방오도료 이용 선박, 연료 절감과 속도 개선 효과 ‘지능형(AI) 정부’와 ‘데이터 댐’...한국판 뉴딜 위한 중요 과제
기획 / 연재 [권오길의 생물읽기 세상읽기 263] 필수아미노산이 함유된 대표적 스태미나 식품 “통영 바다장어 특대 9~12마리(720g)가 3만 원, 쌀쌀해지는 날씨~, 약해지는 기력, 최고의 보양식 통영장어를 만나보세요”라고 대문짝만한 선전문구와 사... 나사가 디즈니 채널과 손잡은 이유 도장 하나로 할 말 다 하다 [권오길의 생물읽기 세상읽기 262] 먹이사슬에서 최종포식자 '가물치'
문화 / 예술 [박찬희의 박물관 여행] 풍경 속에서 기상의 역사를 음미하다 기상은 생활과 떼려야 뗄 수가 없다.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 맑을지 비가 올지, 기온은 어떨지 확인하고 날씨에 맞춰 차림을 한다. 지금은 기상 정보가 비교적 정확하고 언제 어디서든 ... [한민의 문화 등반④] 중년의 위기, 다시 찾은 삶의 이유 [정재형의 씨네로그] 돌고 도는 인생 역전의 코미디 [박찬희의 박물관 여행] 전시실을 나는 항공의 역사
사람을 잇다.. ‘人터뷰’ [김용석 사교련이사장] "사교련, 교원단체 인정 필요"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이사장] “저성장과 양극화, 결국 최선의 해답은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오홍식 국교련상임회장] “국립대 재정난, ‘공적부담원칙’으로 극복” [박찬국 서울대교수] “아이의 정신으로, 디오니소스신처럼 생을 유희하라” 진중권 “발언하고 욕먹는 게 먹물의 숙명이다” [김지영 도쿄대박사] 일본인과 조선인 사이, 이방인을 연구한다는 것 [김용 방송통신대교수] “학과체계 벗어나 ‘학습자 역량’ 기반의 교육서비스로” [박상준 교수] “이야기의 이야기는 참된 인간 모습 찾는 통로” [강준만 전북대교수] 팩트들과 ‘추상의 아포리즘’으로 권력욕을 견제하다
갤러리 초대석 베르나르 브네, 「7개의 불확정 앵글」, 2014. 베르나르 브네(Bernar Venet)는 작품을 구현하기에 앞서 개념을 설정한다. ‘단의성’이라는 수학적 개념을 선택한 그는 하나의 이미지가 하나의 객관적 사실만을 드러내도록 실험... 데니스 루돌프 프랭크, 「SAVE YOUR FACE」, 2019. [신진 작가 큐레이션 4] 몽당연필 속에 거대한 숲이 담겼다
손철주의 미술놀이 ‘외화내빈(外華內彬)’ 도장 하나로 할 말 다 하다16세기 화가 이암은 세종대왕 손자의 손자다. 어엿한 신분에 붓 다루는 솜씨가 매기단했다. 몇 점 남은 그의 개 그림은 척 봐도 야무진 손바람이 눈에 띈다. 익히 알려진 ‘어미 개...
포토 뉴스 대구한의대·일본 시마네현립대, 국제교류 프로그램 진행 동아대, 지역민과 도시재생 프로젝트 진행 신라대, 교양교육 내실화 방안 부·울·경 포럼 열어 제주대, 초등학생 대상으로 재능기부 교육봉사 공주대, 지역사회 콘텐츠 프로그램 공모전 개최 전주대 LINC+사업단, 4차(SAH) 미래 상상대회 시상식 개최 한양대-동국방사능표준분석㈜, 미량 핵종분석 기술 공동 개발 및 시설 구축 위한 MOU 체결 원광대 치과대학병원 신축 봉고식 개최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간호교육인증평가 ‘5년 인증’획득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 ‘교양교육’ 국제학술대회 개최 씨엔티테크-동국대, 최고위과정 '스타트업 CEO과정 with CNTTECH' 2기 모집 전북대, 청년 창업 장려하는 ‘실전 창업 워크숍’ 경남대 LINC+사업단, 산학협력 박람회 개최 충남대, 지역민 대상 ‘세계시민교육 특강’ 개최 호남대, 우즈베키스탄 대학과 국제교류 협약 맺는다 경성대, 사이버 왕따 다룬 연극 프로그램 ‘유튜버 뇨뇨’ 원광대 김동욱·김영곤 동문, ‘원광언론인상’ 수상 창원대, 지역사회 기여하는 3D프린터 스쿨 열어 한신대 한국사학과, ‘우리동네 양산동’ 전시 열어 호원대, 청년뜰과 함께 진로상담 전문성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