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2:50 (일)
“학회에서 심사하고, 심사위원 실명제 강화”
“학회에서 심사하고, 심사위원 실명제 강화”
  • 권형진 기자
  • 승인 2010.06.28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사논문 심사, 강화할 방법 없나?

대학원 교육 내실화를 위해서는 결국 학위 논문의 질이 중요하다. <교수신문>이 지난 4월 전국대학원장협의회 심포지엄에 참석한 대학원장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한 결과 41명 중 32명(78.0%)이 대학원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논문 평가제도의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한 바 있다(<교수신문> 555호, 2010.4.26). 특히 81.6%는 박사학위 논문 질 제고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박사학위 논문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 필요할까.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3일 확정한 ‘2011학년도 대학원 정원 조정계획 및 설치 세부기준’에서 △논문 심사위원 중 2명은 외부위원으로 위촉 △학위 논문의 전국 규모 학회지 게재 또는 학술회의 발표 권장 △논문 지도 교수제 강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심사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해당 전공 분야의 대표 학회에 박사논문 심사를 맡기고, 심사위원의 실명을 공개하자는 주장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지금도 외부 심사위원을 논문 심사에 참여시키고 있긴 하지만 지도교수가 논문 통과를 주장하면 외부 심사위원이라도 이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한 지방 사립대 교수는 “외부 심사위원 자체가 지도교수와 친분이 있거나 컨트롤할 수 있는 사람으로 위촉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지적했다.

박사학위 논문을 학회 차원에서 심사하자는 취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많다. 송문길 관동대 대학원장은 지난 4월 의견조사에서 “학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고 우수인재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특히 이대웅 상명대 대학원장은 “새롭게 창출되고 있는 융·복합 전공 분야의 경우에는 학교 안에 전공한 교수의 수가 위원회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라며 “이를 해결하고 학회의 전문성을 통해 질적 수준을 보장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라고 기대했다.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실효성은 없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한 서울 사립대 교수는 “대표 학회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를 놓고 논란이 있을 수 있고, 학회 역시 학연 등으로 얽혀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엉터리 심사를 막기 위해서는 심사위원 실명 공개가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장원 고려대 교수는 “심사위원 실명제는 물론 논문 역시 통과 전에 발표회 등을 통해 공개하는 쪽으로 가면 어느 정도 심사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강조했다. 심사 단계는 이미 늦은 만큼 ‘코스웍’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김형순 인하대 교수는 “논문 심사 및 통과는 지도교수와 심사위원, 총장 책임 아래 이뤄지는 것인데 학회 심사는 자율성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라고 우려했다.

권형진 기자 jinny@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