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09:35 (일)
지질학 바꾸는 ‘인류세’…연대표에 자리 잡나
지질학 바꾸는 ‘인류세’…연대표에 자리 잡나
  • 김재호
  • 승인 2023.03.21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학자·인문학자가 본 인류세

현재 인류는 신생대 제4기 홀로세에 살고 있다. 그런데 기후변화·환경오염·핵심험으로 인해 ‘인류세’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인간의 활동이 지층에까지 급격히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류세라는 개념은 지질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것이 아니다. 이에 과학자와 인문학자가 바라보는 ‘인류세’를 살펴봤다. 

 

지질학자인 최덕근 서울대 명예교수는 지질시대의 경계가 형성된 과정을 살피며, 인류세가 지질학의 범주를 벗어난다고 밝혔다. 지질시대는 ‘특정한 지역의 특정한 단면에서 특정한 층준(層準)’인 국제표준층서단면·점으로 정해진다. 하지만 100년도 안 되는 인류세에 대해서는 이러한 기준을 마련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문학자인 김기봉 경기대 교수(사학과)는 인류세 대멸종을 우려했다. 인간 스스로 ‘인류의 지질학’이란 비극을 연출하며 오만에 대한 징벌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김 교수는 “인간의 조건과 가치에 관한 가장 근본적인 물음은 ‘우리는 어디서 와서,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이라며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깊은 역사와 빅히스토리를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뉴욕타임스> 기사에서는 인류세 논의 쟁점을 다뤘다. 미국 하버드대의 과학사 연구자인 오레스케스 박사는 인류세가 “실제로 인간의 영향력을 과학적으로 지질학의 일부”로 공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케임브리지대의 기바드 박사는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 인류세를 추가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인류세워킹그룹이 실제로 지질학 개념의 중요성을 오히려 축소시켜버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과학자들은 인류세가 지질학의 연대표에 표시되지 않는, 좀 더 느슨한 차원에서 지질학적 꼬리표인 ‘사건(event)’으로서만 의미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