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22:20 (토)
문화융성의 조건들
문화융성의 조건들
  • 교수신문
  • 승인 2013.06.18 14: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비평

박근혜 대통령은 ‘문화융성’을 국민행복시대를 여는 중요한 국정기조 중 하나로 설명했다. 그러나 문화융성의 정의를 비롯해 국민행복과 연결되는 방법론 등은 아직도 구체화되지 않았다. 실제로 우리가 이미 확보하고 있는 인적자원과 물리적인 공간 등을 생각한다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예술과 문화, 혹은 ‘문화융성’은 그리 멀리 있는 것이 아닐 것이다. 새로운 정책이나 비전이 생기면 우리는 예산을 투입해 새로운 공간을 짓고 그 안에 들어갈 프로그램들을 짜며, 물리적으로 필요한 기자재 등을 확보한다.

그러나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자원들을 조금 더 밀도있는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상당부분 예산을 아낄 수 있을 것이다. ‘문화융성’과 국민의 행복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각기 다른 의미와 정의를 내세우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문화융성은 자신의 신분이나 지위, 재산의 유무에 상관없이 예술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것이 ‘문화융성’이라고 본다.

뉴욕에서 13년 생활하면서 뉴요커들의 삶이 가장 부러웠던 것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뉴욕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이었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를 센트럴 파크에서 들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서머 스테이지(Summer Stage)’ 등과 같은 야외 프로그램들은 여유롭게 문화를 즐기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안겨줬다. 애버리 피셔 홀(Avery Fisher Hall)은 연주자의 표가 모두 팔리지 않았다면, 연주가 시작되기 전에 매진되지 않은 표를 학생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팔았다. 돈이 있어야만 문화를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문화와는 달리, 돈이 없어도 문화를 즐길 수 있음을 오히려 자랑스러워하며 보헤미안 삶을 추구하는 젊은이들이 많았다.

뉴욕현대미술관의 티켓은 학생들에게는 상당히 비싼 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특정 요일에는 늦게까지 개방해 무료로 앤디 워홀과 잭슨 폴록 등을 관람할 수 있게 했으며, 최근에는 온라인 교육 강좌를 강화했고, 작가와의 인터뷰 및 퍼포먼스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룸을 새롭게 부각시키기 시작했다. 문화융성을 위해 물리적으로 새로운 문화센터를 짓고 내용을 채우기에 앞서, 우리가 이미 확보한 자산들을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엮어내는 숙제를 먼저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미적 체험’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공간과 경험 속에서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던 감각의 확장이며, 사고의 확장이다.

이것이 창의력이 될 것이고 나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국가 경쟁력으로 이어지며 세계적인 문화·예술인과 학자들을 배출할 것이다. 우리는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로 우리의 문화는 공공성이 부족한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의 애매모호한 영역에서 ‘문화융성’정책은 나와 우리의 목소리와 행복을 함께 찾아 볼 수 있는 방법론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대중적이고 상업적이지 않아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여겨지는 예술과 문화는 이러한 방법론 내에서 보호해야 할 것이다.

다른 어떤 분야보다 비정규직이 많은 문화·예술계의 인적자원은 예술정책에서 꼭 풀어야할 숙제이기도 하다. 일부 계층들이 향유한다고 생각하는 예술을 일상적 삶 속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 돈이 없는 학생들이나 일반인들도 예술과 문화를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새로운 문화예술센터를 만드는 것보다 급선무다. 행복지수가 아주 낮은 한국인의 삶, 자살지수가 아주 높은 한국 사회에서, 부정적이고 폭력적인 에너지를 예술로 발산시키는 것이 ‘문화융성’일 것이다.

 

정연심 홍익대·미술비평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