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23:15 (토)
[딸깍발이] 대입 논술의 사회적 함의
[딸깍발이] 대입 논술의 사회적 함의
  • 여건종 편집기획위원 / 숙명여대·영문학
  • 승인 2009.10.05 13: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 입시에 논술고사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도 이제 10년이 됐다. 그동안 어떠한 능력을 평가할 것인가에서부터 문제의 성격, 난이도, 채점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이르기까지 논술 고사의 존립 근거에 대해서 끊임없이 이의와 문제가 제기돼 왔다. ‘죽음의 트라이앵글’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수험생들에게는 입시 준비에 혼란을 가져오고 고액의 사교육을 유발하는 공공의 적으로 매도됐다. 통합 논술이 도입된 이후에는 변형된 본고사로 교묘하게 변질돼 공교육을 파괴하는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실제로 대입 논술 고사는 논술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적 신념에 근거하기보다는 변화하는 입시정책 하에서 우수한 학생을 확보하려는 각 대학의 입시 전략에 따라 변모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지난 10년간은 논술 고사 본연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인식, 이론적 토대, 사회적 합의가 서서히 형성되던 시기이기도 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논술 고사가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중등 교육의 전체 교육 과정에 획기적인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논술 연구자와 중등교육 현장에서 확인되고 공유되고 확산됐다는 것이다. 통합 논술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특수 상황 속에서 탄생한 기형아이자 미숙아였지만, 또한 대학과 중등교육의 현장에서 점진적으로 축적된 논술에 대한 인식과 연구가 반영된 결과물이기도 하다.

    암기력 위주의 사지선다형 문제나 지식 위주의 단답식 문제풀이와는 달리 통합논술은 교과과정 내에서의 폭넓은 독서와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에 반응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통합논술에서의 논술 능력은 단순한 작문 능력이 아니라 논술자의 경험, 문제의식, 가치관, 적절한 언어구사 능력,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설득력 등을 주어진 문제 상황을 통해 표현하는 총체적이고 전인적인 능력이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외부 세계를 경험하고 전유한다. 그리고 그것의 축적을 통해 다시 외부 세계의 변화에 반응하고 개입한다. 언어가 습득된다는 것은 하나의 세계가 내 안에 들어와 나의 일부가 된다는 것이다. 많은 경우 단어를 구사하고 문장을 구성한다는 것은 이러한 자기 형성의 복합적 과정이 드러나고 표출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면의 과정이 구체적인 단어와 문장으로 형상화될 때, 그것은 자기 확장과 갱신으로 경험된다.

    시민사회가 먼저 발달한 서구 국가에서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언어능력의 습득이 실제적인 중등교육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독서교육, 토론교육, 글쓰기 교육은 모든 교과과정에 걸쳐 가장 기본적인 교육의 방법이자 목표가 되고 있다고 해도 큰 과장은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민적 능력이 서구의 시민사회를 지탱하는 심층의 축적된 자원이자 동력이 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중등교육의 파행은 경쟁과 결과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교육의 본질을 훼손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단편화된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주된 교육 내용이 되고,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방식으로 지식 내용이 전수되고, 등급화된 평가의 형식이 실제 교육 내용 전반을 결정하고 지배하게 되는 것은 모두 평가의 효율성과 편이성이 교육의 목표를 대치하는 것에서 나오는 비교육적이고 반교육적인 현상들이다.중등교육이 대학입시에 전면적으로 복속되는 현상은 이러한 파행의 필연적 결과이다.

    교육에서의 완강한 경쟁지상주의, 효율지상주의는 우리 사회의 기형적인 압축 근대화의 산물이다. 문제는 이러한 교육의 기형적 파행이 다시 민주적 공동체의 기본조건인 시민사회와 시민적 능력의 약화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중등교육에 논술교육을 확립하고, 그것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입 논술을 정립하는 것은 우리 사회를  더욱 성숙한 민주적 공동체로 만들 수 있을 토대를 놓는 일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 가는 것도 대학이 해야 할 역할 중의 하나이다.

여건종 편집기획위원 / 숙명여대·영문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