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04:10 (토)
‘리바이어던’을 다시 읽는 이유
‘리바이어던’을 다시 읽는 이유
  • 박정자 상명대
  • 승인 2006.10.30 22:29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비평]
홉스의 '리바이어던'

‘전쟁과 평화’는 톨스토이의 감동적인 소설 제목이지만 현재 한국 좌파 세력에게는 가장 큰 개념적 무기이다. “그럼 전쟁을 하겠다는 말이냐?”라는 한 마디 말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이나 김정일 체제의 학정을 거론하는 사람들의 입에 재갈을 물리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반드시 전쟁을 경험한 세대가 아니더라도 전쟁은 나쁘고 평화는 좋다,라는 것은 영원한 진리이므로 그들은 일견 유리한 이미지를 선점한 듯이 보인다.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집권당의 대표가 개성공단에 가 춤을 추고, 전직 대통령이 한반도 근해상에서의 무력 충돌 가능성을 말하며 연일 국민들을 협박하고 있는 것도 모두 자신들이 평화세력임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들의 방식이 진정 한반도에 평화를 담보해주는가? 핵 위험만으로도 숨이 막히는데 집권 세력의 이런 억지 주장이 국민을 한층 더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그 답답함과 두려움이 홉스의 ‘리바이어던’을 다시 들쳐보게 한다. 

“인간은 인간에 대해 이리이다”라거나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는 홉스의 문구에서 우리는 서로 죽고 죽이는 실제적인 전쟁을 떠올리지만 그의 전쟁 개념은 결코 실질적인 전투의 의미가 아니다. “실질적인 전투와 싸움만이 전쟁은 아니다. 전투상태로 대립하고자 하는 의지가 충분히 확인되는 시간적 공간도 전쟁인 것이다”라는 말에서 우리는 그의 전쟁이 의미하는 상징적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홉스가 말하는 전쟁상태의 성격은 그러니까 실질적인 전쟁이 아니라 경쟁상태를 끊임없이 조정하는 일종의 외교이다. 그러나 그것이 전쟁의 시뮬레이션으로 진행되는 외교라는 데에 그의 독창성이 있다.   

불평등한 관계에서 분쟁이 야기된다고 우리는 흔히 생각하지만 우리의 상식과는 달리 전쟁은 힘의 관계에서 차이가 불충분할 때 일어난다. 분쟁이나 전쟁은 불평등의 산물이 아니라 아이러니칼하게도 평등의 소산이다. 만일 사람들 사이에 역전이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는 간격이 있다면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 가시적이고 뚜렷한, 엄청나게 커다란 차이들이 있다면 결과는 둘 중의 하나이다. 우선 강자와 약자 사이의 대결이 있겠지만 이 실질적인 전쟁은 약자에 대한 강자의 승리로 결판이 날 것이다. 이때 승리는 강자의 힘 때문에 결정적인 것이 된다.

두 번째로는 아예 실질적인 대결이 없을 것이다. 약자가 자신의 허약함을 감지하여, 그것을 확인함으로써 대결을 해보기도 전에 포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연스러운 차이가 있는 두 상대방 사이에는 전쟁이 없다. 왜냐하면 힘의 관계는 처음부터 고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힘의 차이가 크지 않을 때이다. 상대방에 비해 약간만 허약한 사람은 자신이 굴복하지 않을 만큼은 충분히 강하다고 느끼며 강자와 자신을 동일시한다. 그는 자기가 이웃만큼 강하게 되는 일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따라서 전쟁을 포기하지 않는다. 한편 상대방보다 현저하게 강하지 않고 약간만 강할 뿐인 강자는 불안감 없이 경계를 늦출 만큼 그렇게 충분히 강하지는 않다. 그는 자기가 타인보다 더 약하게 될 수 있다는 것, 특히 타자가 계략이나 기습, 연대를 할 경우 자기가 상대방보다 더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안다.

  그러므로 약자 편에서는 전쟁을 포기하려 하지 않고, 약간만 강한 강자 편에서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전쟁을 피하려고 애쓸 것이다. 그런데 전쟁을 피하려고 하는 사람은 단 한 가지 조건에서만 그것을 피할 수 있다. 그것은 자기가 전쟁을 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전혀 그것을 포기할 태세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대방은 이쪽이 전쟁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한도에서만 전쟁을 포기할 것이다.

여기에 치밀하고 냉혹한 表象의 계산이 있다. 나는 타인의 힘을 상상하고, 또 타인이 나의 힘을 상상한다는 것을 상상한다. 그러므로 의지의 과장적이면서도 뚜렷한 표출이 중요하다. 자신이 전쟁을 원하고 있다는 것, 결코 전쟁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바를 확고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현대 세계에서 핵은 힘의 관계를 한 순간에 뒤집는 대표적인 표상이다. 국민에게 기초적인 영양 공급을 하지 못할 정도로 가난한 최빈국이라도 핵만 보유하면 단숨에 군사대국이 된다. 이 엄청난 힘의 역전 앞에서 ‘민족’ 타령만 하고 있는 집권 세력의 정체는 과연 무엇인가?

 박정자/상명대·불문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06-11-06 14:01:46
저번에 박정자씨가 쓴 글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문제의식이 깊지 않을까했는데.. 제가 단순히 이름값에 대한 '우상'을 가지고 있었나 봅니다.. '민족'타령이라.. "리바이어던"을 다시 읽는 이유에 대해서는 안써도 되실 것을.. 이렇게 이념적이고 단순한 이야기를 하실 것이면서 '리바이어던'을 끌어오시다니..

밝음 2006-11-02 14:30:21
교수님이 쓴 글은 결론적으로 북한이 핵무기 만들려고 한다면, 전쟁이라도 불사하겠다고 계속 윽박질러야 했다는 논리군요. 아니면, 핵실험을 했으니까 전쟁을 해서라도 막아야한다는 논리던가.

그 논리대로라면, 북한이 핵을 만든 건, 우리나라와 미국이 북한에 전쟁 위협을 하지 않은 결과로군요. 그럼 미국도 함께 욕하셨어야죠. 전시 작전권은 미군이 가지고 있으며, 전쟁개시도 미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니까요. 자, 이렇게 문구를 추가하시죠. "그리고 이 엄청난 위협 앞에서 가만히 있는 미국의 정체는 과연 무엇인가?"

그러나 실제로는 미국이 계속 위협하니까 시위용으로 핵실험을 했다고 해석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것 아닐까요? 그렇다면 미국은 교수님의 논리를 따랐지만 북한의 핵개발의 촉매역할만 해버렸군요.

물론 한반도, 아니 전세계에 핵무기는 없어야 하겠고, 그런 점에서 북한을 비판해야 옳겠지만, 교수님의 논리는 납득하기 어렵군요. 자, 교수님의 논리를 따라 북한의 입장이 되어 볼까요? 북한이 전쟁일으키겠다고 지속적으로 협박하는 것("전쟁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 이른 바 적화야욕의 과시야말로 한반도의 전쟁을 막는데 도움이 되는 길이 되겠군요. 맙소사, 이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이야 말로 남한까지 지킬 수 있는 수단이라는 북한의 논리와 완벽하게 같군요.

또, 교수님의 논리대로라면, 박정희시절에는 우리가 핵무기 개발을 추진했으니 그 때 북한은 당연히 전쟁일으켜야 하는 것이고요. 유명한 철학자와 저서를 인용하셨지만, 대체 무슨 이유로 갖다 붙이시려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박교수님은 지난 번에도 박정희 향수를 이야기 하더니, 이번에는 집권세력이 좌파이며 정체가 의심스럽다고 주장하네요. 제가 보기에는 '교수신문'이라는 명칭에 걸맞지 않게 학적, 논리적 연관성이 없이 특정 정파에 치우친 정치적 한탄으로 보입니다. 그 흔한 "본 신문사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도 없는 것으로 보아, 이 글과 신문사의 의견은 같은 것으로 보이는데, 글을 게재하기 전에 좀 고민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ㅋㅋ 2006-11-01 01:30:43
리바이어던은 무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