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9:55 (일)
“국내 대학원 자생력 우선 검토…획일적 개혁 유도 말라”
“국내 대학원 자생력 우선 검토…획일적 개혁 유도 말라”
  • 이민선 기자
  • 승인 2006.06.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전국대학원장협의회장으로 선출된 김영한 서강대 대학원장


“한국 대학원이 어느 분야에 자생력이 있는지부터 확인해보자. 그리고 이를 통해 대학원 학위 과정의 수위를 조절하자.”

지난 4월 말 전국대학원장협의회장이 새롭게 선출됐다. 서준석 연세대 대학원장(신학)이 임기를 다하면서 김영한 서강대 대학원장(사학)이 그 뒤를 잇게 됐다. 전국대학원장협의회(이하 협의회)가 회원교를 강력히 구속하고 큰 목소리를 내는 협의체는 아니지만, ‘병세’가 악화되고 있는 한국 대학원에 메스를 대야 하는 시점에서 개혁의 중추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대학원장협의회장의 임무가 막중해졌다.

김영한 협의회장은 일단 한국 대학원의 위기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원의 현실이 모두 달라 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점을 답답해했다. 즉, 모든 대학원들이 입학자원의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열화의 정점에 있는 대학원과 ‘대학원 피라미드’의 기층이 처한 현실이 달라 모든 대학원에 적용할 수 있는 묘안이 도출되지 않는다는 것.

 

김 협의회장은 “예를 들어 대학원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지만 많은 대학들이 학생 자체가 없어서 야단인 상황에서 대학원의 질을 따지기가 거북하다”고 말한다. 또, BK21 사업 취지에도 불구하고 선정 결과에 따라 한 해에 억대의 지원을 받는 대학원과 그렇지 못한 대학원 사이에 점차 격차가 벌어지는 점도 협의회가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김 협의회장이 내놓은 대학원 개혁 방안은 한국 대학원의 자생력을 점검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원론적인 대책이지만 한국 대학원 체질 개선의 실마리를 풀 수 있는 단초라는 게, 김 협의회장의 생각이다. 대학의 현실적 여건, 학문 분야별 수준을 고려해 국내에서 초특급 일류 연구자를 양성할 수 있는 지 판단하고 이에 따라 대학원 학위 과정의 개설 수위를 조절해야 한다는 것.

 

김 협의회장은 “예를 들어 컴퓨터, 바이오 등 자신 있는 분야는 국내에서 박사학위까지 하도록 하고, 그렇지 못하다면 박사과정을 억제하고 석사과정까지만 설치해 국내의 다른 대학으로 박사과정을 밟도록 하거나 해외 대학원으로 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어, “한국 대학원의 자생력을 검토하는 작업을 하지 않은 채 대학원이 운영된다면 대학원에서 자신이 가르친 학생은 교수로 임용하지 않고 외국에서 공부한 이들을 교수로 채용하는 이율배반적인 풍토는 계속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학원 개혁과 평가를 주도하는 교육인적자원부에게는 쓴소리를 던졌다. 김 협의회장은 “교육부는 늘 돈을 미끼로 교육부가 정한 ‘룰’을 따르도록 해 모든 대학과 대학원이 획일적으로 변화한다”고 꼬집었다. 교육부의 금전적 지원을 얻기 위해 제도를 고치고 개혁을 하지만 결국 졸속으로 교육부가 요구만 간신히 갖춘 후, 지원금이 떨어지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는 것. 김 협의회장은 교육인적원부가 연구중심대학 육성방안으로 도입한 학부제가 결국 실패하면서, 학과제로 되돌아간 것을 구체적인 사례로 지목했다.

협의회는 오는 22일 김영한 협의회장 체제 출범 이후 처음으로 이사회를 소집할 계획이다. 대학원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사항을 모으고,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가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김 협의회장은 “39년에 걸쳐 매년 정기총회 자리에서 대학원 발전 방향을 논의해왔지만 한국 대학원의 긍정적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이번에는 실현 가능하고 효율적인 대안을 내놓아 교육부 장관에게 제의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민선 기자 dreamer@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