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6:10 (토)
초점: 재벌관련 문헌 분석(1945~2002)
초점: 재벌관련 문헌 분석(1945~2002)
  • 강성민 기자
  • 승인 2005.09.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배구조' 가장 많이 다뤄

재벌 관련 자료는 모두 몇 건일까. 이재희 경성대 교수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총 5천7백42건이나 된다. 전체 문헌의 1/3가량인 1천9백47건이 1998년에서 2002년에 집중돼 있다. 연구문헌이 3천9백27건(68.4%)이고 자료문헌이 1천8백15건(31.6%)이다. 연구문헌의 경우 시기별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자료문헌은 1990년 이후로 줄어들고 있다.

연구문헌에 대한 분석은 관심을 끈다. 약 4천건 가운데 일반 학술논문이 48.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단행본 22.7%, 석사논문 19.3%, 박사논문 9.7%의 순서다. 재벌관련 박사논문은 총 3백82건이다. 박사논문 수는 1998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다.

재벌연구를 영역별로 구분해볼 때 가장 많이 다뤄진 주제는 무엇일까. 지배구조에 대한 연구가 11.3%이며 경제력집중(9.6%), 산업정책(8.2%), 노동통제(8.3%) 등이 뒤를 잇는다. 이에 비해 재벌과 관련된 ‘자료’문헌의 경우 ‘기업가’, ‘하도급’, ‘정경유착’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의 관심과 연구자의 관심이 다른 것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그런 주제를 학술적으로 다루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탓도 있다고 이재희 교수는 지적한다. 총 5개의 시기로 나눠 재벌연구 주제의 흐름을 살핀 이 교수는 재벌연구가 실천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시기별로 당대의 핵심적 경제이슈를 반영하며, 당면한 현실적·정책적 문제해결에 치중해왔음을 보여준다는 것. 하지만 외부에서 제기된 이슈에 따라 연구의 축이 크게 달라지는 것은, 본질적인 주제에 장기적으로 천착하는 연구가 그만큼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재벌’에 대한 국내연구와 국외자들의 연구가 갖는 차이점이다. 외국연구는 총수의 기업집단 지배 문제, 기업집단의 국민경제 지배에 따른 갈등은 대체로 무시한 채, 한국의 기업가=기업집단=국민경제는 모순 없는 하나의 실체로 보는 특성이 강하다. 즉, 한국경제를 독자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이른바 동아시아 모델의 한 사례로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 그에 비해 국내 연구는 재벌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재벌의 부정적 측면을 문제삼아 왔다. 이것은 재벌연구의 동기나 목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이 교수는 분석한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연구주체에 따른 분류와 통계현황이다. 단행본을 대상으로 분석해본 결과 총 8백18권의 책 가운데 재계가 3백41권(41.7), 국가가 2백38권으로 합쳐서 70% 정도에 이르며 민간 부문을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민단체와 노동단체가 36권(4.4%), 일반이 2백3권(24.8%)이다. 물론 전체 재벌연구에서 단행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22.7%로 크지 않으므로 주체 편중에 대한 문제점을 상쇄할 여지는 있다.

주체별로 선호주제를 살펴보면 국가의 경우 노동통제, 경제력 집중, 지배구조, 기술혁신, 산업정책 순으로 연구주제가 구성돼 있다. 재계는 경영혁신, 규제완화, 지배구조, 경영부실, 노동통제로 양자의 선호주제가 상극을 이루고 있음이 보여진다. 재계의 경우 모두 재벌의 이익을 충실하게 반영하는 주제들인데, 국가·일반·사회 등 다른 모든 주체에서 거의 중시되지 않는 규제완화가 중요하게 다뤄지는 점이 주목된다.

하지만 박사논문 참고문헌에 등장하는 빈도로 살펴본 인용도에 있어서는 재계의 연구가 6.1%로 낮게 나왔고, 이에 비해 일반 출판물이 77%로 가장 높게 나왔다. 일반출판물이 생산 점유율은 낮지만 학술적 수요가 높은 것. 또한 외국문헌의 경우 이론적, 방법론적 차원에서 주로 수요되고 있었고 국내문헌은 재벌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해 수요되고 있었다.

재벌 관련하여 박사논문을 가장 많이 낸 대학은 서울대(71편), 고려대(40편), 연세대(28편), 성균관대(21편)로 나타났고, 이들 4개 대학이 전체대학의 41.9%를 차지했다.

강성민 기자 smka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