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1:35 (금)
동아대 이진환 교수, 식품·농경 분야 최상위 학술지에 연달아 논문 게재
동아대 이진환 교수, 식품·농경 분야 최상위 학술지에 연달아 논문 게재
  • 하영 기자
  • 승인 2021.09.29 1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생명자원 내 기능성물질과 효능 규명 및 성분 극대화 연구, ’Food Chemistry’와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에 책임저자로 2편 발표
- 생명자원에 존재하는 기능성물질 규명 및 극대화 연구로 바이오식품 산업화 개발
- 신규 기능성물질과 효능 검증으로 생명자원 활용성 증대와 메디푸드 소재 확보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자원산업학과 이진환 교수가 식품과학 영양분야와 농경분야의 세계적 상위 학술지 ‘Food Chemistry’와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저널에 책임저자로 연이어 2편의 논문을 게재(’21년 6월, 11월)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진환 동아대 생명자원산업학과 교수
▲이진환 동아대 생명자원산업학과 교수

 이들 저널은 의학 및 과학 기술 중심의 세계적 출판사 엘스비어(ELSEVIER SCI)에서 발행하는 것으로 JCR(Journal Citation Reports) 상위 전공분야별 식품영양‧식이요법학 분야(Nutrition&Dietetics) 1/105, 농경분야(Agronomy) 5/91에 해당하는 권위 있는 학술지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생명자원 내 기능성물질 및 환경변화에 따른 함량을 규명하고, 새로운 기능성물질과 효능을 검증했다.

 이 교수가 발표한 논문은 ‘생명자원의 다양한 종과 부위별 페놀성 기능성물질 유도체 평가 및 효소·항산화 관련 유용성 검증 연구(Assessment of phenolic profiles from various organs in different species of perilla plant (Perillla frutescens) and their antioxidant and enzyme inhibitory potential)’ 등 2편이다.

 이 교수는 논문에서 세계적으로 기능성식품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생명자원을 소재로 유용물질 추출‧정제‧분리‧구조규명, 신규물질을 검증했다. 또 이 물질들에 대해 인체에 효율적인 신 기능성을 검증하고 생명자원 부위 및 환경변화별 유용물질 함량 최적조건을 규명, 건강식품과 메디푸드 산업화 소재 개발 위한 결과를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생명자원 중 국내에서 소비가 많이 되고 있는 농작물을 주제로 진행됐다. 일반적으로 식물 중심의 자원은 생합성경로를 통해 수많은 기능성 대사체가 생성되는데, 이 교수팀은 농작물 생육과정에서 식용 가능한 잎과 씨앗 외 기타부위에 기능성물질인 페놀성물질과 플라보노이드 성분 존재 유무와 함량을 측정, 기능성식품·건강보조식품·제약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또 농작물 종에 따라 기능성물질 함량 비교평가 및 신규물질 분리와 구조해석으로 메디푸드 소재 개발을 위한 기본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뿐만 아니라 인체와 연계된 당뇨 질환 관련 탄수화물분해효소(α-glucosidase)와 색소침착 관련 멜라닌 생성을 조절하는 산화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를 저해하는 효능을 확인했으며, 만성질환에 관련된 항산화 효능 평가에서도 우수한 활성이 검증돼 생명자원을 활용한 산업화 소재 개발을 증명했다.

 이는 앞으로 다양한 연구분야(Functional food, nutraceutical & Pharmaceutical source)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만성질환 예방과 식의약 소재 개발 측면에서 생명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메디푸드 산업화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바이오전환 융합 및 스마트팜 적용 기법을 다양한 생명자원에 접목, 기능성물질과 인체관련 유용성이 높아진 신소재 개발로 식의약소재 산업화에 초석이 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최근 다양한 생명자원을 연구소재로 기능성물질 규명과 효능검증, 기능성물질 함량 변화 등을 밝힌 내용으로 분야별 최상위 논문에 여러 차례 발표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