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07:40 (토)
“전문대가 살아야 중소기업이 살고, 청년일자리 문제 풀린다”
“전문대가 살아야 중소기업이 살고, 청년일자리 문제 풀린다”
  • 이해나
  • 승인 2018.04.23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전문대학 상생 협력 발전방안」 세미나
지난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전문대학 상생 협력 발전방안」 세미나에서 유성엽 국회 교문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제공=전문대교협

지난달 15일, 정부가 청년일자리대책을 내놓으며 파악한 중소기업의 빈 일자리는 20만1천개에 달했다. 실제보다 부풀려진 수치라는 문제 제기도 있지만, 청년들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실업률은 11.6%로 1년 전보다 1만8천명이 늘어났다. 중소기업은 인력난에 허덕이고 청년들은 취업난에 고통받는 소위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해결하면 청년일자리 문제가 자연스레 풀릴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청년일자리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전문대학 상생 협력 발전방안」 세미나가 지난 19일 오후 1시 30분 국회 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는 행사를 공동주최한 국회교육희망포럼 전재수 의원(더불어민주당·부산 북강서갑)과 이기우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이하 전문대교협) 회장을 포함해 유성엽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전국 전문대총장 등 100여명이 참여했다. 특히 유관부서인 교육부·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고용노동부의 실무자가 참석해 열띤 토론이 벌어지기도 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조선형 전문대교협 산학교육혁신연구원장은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벌어지는 원인 6가지를 분석했다. △열악한 근무환경 △지원자 부족 △직무역량 미비 △자기계발 기회 부족 △임금 수준의 불만족 △작업 환경 불만족 등이다. 조 원장은 “6가지 원인에는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 중소기업이 참여해야 할 문제, 전문대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섞여있다”고 진단하며 “산관학 협력을 통해 전문대 학생들을 입학 시기부터 지역 산업 직무에 맞춰 親중소기업인재로 육성해야 한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조 원장에 따르면, 정부는 전문대가 역량을 갖춘 親중소기업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적극 투자해야 한다. 전문대는 지역의 산업 현황에 따른 고용수급 현황을 파악해 해당 산업체에서 요하는 직무핵심역량을 구축한 뒤, 실제 역량체득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체계를 혁신해야 한다. 실제로 전문대교협은 이달 말까지 136개 전문대의 2천560개 학과 대상 지역산업과 관계된 역량조사 작업을 마칠 예정이다.

세미나에 참석한 김병욱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성남시분당구을)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구인과 구직의 갭을 해결해 보려는 시도가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정책·입법·예산 면에서 뒷받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용섭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장의 사회로 이어진 자유토론에서는 중기부에 시선이 집중됐다. 윤여송 인덕대 총장은 “그간 고용노동부는 폴리텍대를 적극 지원해 왔고, 교육부는 4년제 대학 중심 지원이 이뤄졌기에 새로 생긴 중기부가 전문대를 위한 정책을 펼쳐주리란 기대가 컸다”며 “그러나 창업선도대학 등 재정지원사업의 평가 지표가 여전히 일반대학 위주인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김민규 중기부 인재활용촉진과장은 “공감이 된다”면서도 “(중기부는) 중소기업 육성이 주목적인 부처라 전문대 육성 취지를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앞으로 전문대와 협업을 강화해 전문대 출신 인재의 중소기업 장기재직을 돕겠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를 통해 전문대와 정부부처 간 공감대가 형성된 모양새였다. 소통의 물꼬는 텄지만 현실적인 정책 반영으로도 이어질지 추이를 살펴볼 일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