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2:45 (토)
세월의 꽃등에 새긴 금속공예 34년
세월의 꽃등에 새긴 금속공예 34년
  • 이은정 기자
  • 승인 2003.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제의 인물] 연구실에서 퇴임전시회 가진 강찬균 서울대 교수

서울대 미대 52동. 강찬균 교수(65세,디자인학부·사진)의 연구실로 올라가는 길은 여느 때와는 사뭇 다르다. 연구실로 올라가는 계단과 통로에는 그간의 작품세계와 교육활동이 잘 정리돼 있었고, 모퉁이마다 전시된 작품에서는 연륜이 느껴진다.

이 이색전시회의 주인공인 강찬균 교수는 국내 금속공예 1세대로 후학 양성에 반생을 담금질했다. 강 교수는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정년퇴임을 앞두고 그간의 작품 활동과 교직 생활을 보듬어보는 전시회를 가졌다. 내년 있을 퇴임을 위해 자신의 작품을 하나씩 펼쳐놓고 보니, 그 안에는 34년간 금속공예에만 몰두해온 작품 세계와 후학 양성의 긴 세월이 꽃등처럼 걸려 있었다.

시각디자인을 전공한 강 교수가 1969년 서울대 전임교수시절 주로 했던 작업은 석공예였다. 하지만 1971년, 1978년 두 차례 이탈리아 유학을 다녀오면서 당시로서는 미개척 분야였던 금속 공예에 눈을 돌리게 됐다. 당시만 하더라도 제대로 된 도구 하나 없었는데, 이제 그의 연구실에는 수많은 작품과 도구로 발 디딜 틈이 없다. 그런 그의 작품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바로 ‘전통’에 대한 끊임없는 천착.
“1978년 이탈리아에서의 유학은 선진 공예의 미학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돋을 새김, 파 새김 등 유학생활동안 배웠던 기술들이 알고 보니 모두 우리 금속 공예 안에도 있었습니다.”

지구 반 바퀴를 돌아가 배웠던 것으로부터 우리의 전통기법을 재 발굴한 강 교수의 작품에서는 그래서인지 구수한 냄새가 난다. 툇마루에 누운 위로 쏟아지는 별빛과 멀리서 들려오는 귀뚜라미 소리. 어릴 적 할머니가 소곤소곤 읽어주던 전래동화의 속삭임이 그의 작품 작품을 타고 들려온다. 차가운 금속으로 맹호를 빚어내도 무서움은 사라지고 어느새 그 자리에는 해학과 따뜻함이 대신한다.

“보신각 종 수정작업을 끝마치고 심신이 모두 지쳐있을 때 우연히 개구리가 떠올랐습니다. 작고 힘없는 개구리, 하지만 멀리 뛰기 위해 몸을 웅크리고 있는 개구리가 마치 나 자신처럼 느껴지더군요.”

1985년 이후 날로 왜소해지는 현대인을 개구리로 의인화한 ‘개구리와 달’ 시리즈로 일명 ‘개구리 작가’로도 불리는 된 강 교수. 퇴임 이후의 예술 세계가 강 교수에게 있어 제 2의 개구리 전성시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