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3:15 (일)
논문 대신 저술도 연구결과로 인정 … 지역대학 연구자 우대
논문 대신 저술도 연구결과로 인정 … 지역대학 연구자 우대
  • 권형진 기자
  • 승인 2014.01.20 12: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학술·연구지원사업 달라지는 점은

올해 인문사회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이 대폭 확대된다. 지역대학 연구소와 연구자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창의·소외 연구와 융합연구, 한국사 분야에 대한 지원 또한 확대된다. 특히 논문 대신 저술을 연구 성과로 인정하는 비율을 높여나갈 예정이서 대학의 교수업적평가에도 새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4년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을 지난 15일 발표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분리된 후 교육부가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분야 등을 총 망라해 수립한 첫 종합계획이다. 인문사회 분야 기초연구(2천237억원)와 과학기술 기초연구(3천314억원), 국제교류(104억원), 기반 확충 및 성과 확산(384억원)을 위해 총 6천39억원을 지원한다.

인문사회 분야의 지원이 대폭 늘었다. 인문사회 기초연구와 성과 확산에 지난해보다 156억원 늘어난 2천443억원을 지원한다. 인문학 대중화 사업 예산이 지난해 29억원에서 올해 60억원으로 31억원 늘었고, 학제 간 융합연구에 대한 지원도 지난해 34억원에서 올해 50억원으로 증가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 가운데 하나는 인문사회 분야에서 논문이 아니라 저술을 연구 성과로 인정하는 풍토를 만들어나가겠다는 점이다. 인문사회 분야 개인연구의 경우 지금까지는 논문만 연구 결과물로 인정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저술·출판 등 다양한 연구결과물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결과평가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 연구과제를 신청할 때 지금은 논문(100%)을 기준으로 단독저서는 200%, 공동저서는 100%만 연구실적으로 인정하지만 올해부터는 이를 각각 300%, 200%로 확대하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논문 대신 저술 등을 연구결과물로 인정하는 것은 학문후속세대 지원사업인 박사 후 국내연수 지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사업을 대상으로 적용하며, 구체적 적용 방법은 연구 주제에 따라 검토해 추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인문학 ‘인문학 진흥 종합계획’도 추진한다. 지금까지의 인문학 진흥이 주로 대중화 프로그램에 초점을 뒀다면 교육부가 새로 수립할 ‘인문학 3.0’에는 성과 확산뿐 아니라 초중등 및 대학교육에서 인문교육 강화, 인문학 연구 지원을 통한 연구 경쟁력 제고 방안 등이 함께 포함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계 전문가 등 5~6명이 참여하는 TF팀을 지난해 12월 구성해 논의에 들어갔다”라며 “2월까지는 구체적인 정책과 사업 계획 등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요 국정과제인 지역대학 육성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올해 새로 선정하는 이공분야 중점연구소는 4개 모두 지역대학 부설 연구소 가운데 선정한다. 올해 13개를 신규 선정하는 인문사회 중점연구소는 BK21플러스사업처럼 지역대학 부설 연구소에 별도의 쿼터를 배정할 계획이다.

지역대학 연구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지역대학의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해 과제 선정 과정에서 동점자가 발생하면 지역대학 연구자를 우대하기로 했다. 인문사회 분야 학문후속세대 지원사업과 이공분야의 리서치 펠로우 연구지원사업이 주요 적용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 분야에 40억원을 별도로 지원하는 등 인문사회 분야 기초연구 지원에서 한국사 분야의 연구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인문사회 개인연구과제 신규 선정 때 창의·소외 분야와 융합연구를 별도로 배정해 지원한다. 

창의성이 높은 아이디어를 적극 발굴해 지원하기 위해 이공분야의 개인 기초연구에서는 ‘한국형 SGER(Small Grant for Exploratory Research)’이 시범 실시된다. 에세이 형식으로 연구 아이디어를 수시로 접수받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실패 가능성을 전제로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연구과제를 발굴·지원한다. 올해는 50개 안팎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공분야 개인 기초연구에서는 또 신규과제의 지원기간을 한시적으로 3년에서 2.5년으로 조정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2010~2011년 선정한 5년 과제와 2012~2013년 선정한 3년 과제의 지원기간이 중복되는 바람에 올해 신규과제 수가 550여개로 급감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며 “올해 지원기간을 2.5년으로 조정할 경우 1천100여개 과제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신규과제 지원규모를 1천500~2천개 수준으로 유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형진 기자 jinny@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