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07:50 (일)
“교수별 다양한 특성 살릴 수 있다”
“교수별 다양한 특성 살릴 수 있다”
  • 특별취재팀
  • 승인 2012.03.19 10: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학협력단장이 말하는 ‘산학협력 선도대학’사업

울산대는 지난해 12월, 산학협력 부총장제도를 신설했다. 그만큼 울산대가 산학협력에 중점을 둔다는 얘기다. 산학협력 선도대학사업은 대학과 산업체간의 거리를 좁히고 학생들을 연계시켜주는 것인데 이 일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다.

허정석 울산대 산학협력 부총장은 “이번 산학협력 선도대학 사업은 기존 교수들에게 하나의 길을 더 열어 준 것”이라며 “자신이 갈 길이 논문이라면 논문을 써서 평가를 받고 산학협력을 하고 싶다면 산학협력으로도 평가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교수별로 다양한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성기 한국해양대 산학협력단장도 “기존 교수의 SCI급 논문에 비해 산학협력 실적을 50% 인정한다. 기존 교수들은 산학협력이나 연구, 교육 위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평가 방식에 대한 선택권을 넓혀 기존 교수들을 설득할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김종수 부경대 산학협력 태스크포스팀장은 “산학협력 교수들은 기업에서 로열티로 1천만 원을 받아야 SCI논문 1편으로 인정을 받는데 일반적인 보통 기술이나 특허로는 쉽지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산학협력도 마냥 쉽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오히려 SCI논문 쓰는 것 보다 어렵다는 생각도 든다. 그래서 산학협력 실적 평가 기준을 50%까지 올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상우 금오공대 산학협력단장은 “각 대학마다 10년 이상의 산업체 경력이 있는 유능한 사람을 경쟁적으로 유치하려고 할 텐데 인적자원 확보가 고민”이라며 “산학협력중점교수로 채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 확보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산학협력 초기 단계의 고민도 있다.
수도권 대학의 교무처 관계자는 “채용형 산학협력중점교수의 경우, 산학협력만 시킬것인지, 연구와 교육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구체적인 미션이 정해지지 않았다. 연봉수준이나 업무를 어떻게 구체화시킬지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지역 대학의 교무처 관계자도 “산학협력의 정의가 내려져 있지만 현실에서 적용을 하려면 산학협력의 범위를 어디까지 잡아야 할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서울지역의 다른 대학 관계자는 “산학협력은 대학이 추구하는 목표 중의 하나일 텐데, 대학을 산학협력 조직으로 변경해야 산학협력 선도대학으로 선정될 수 있을 같아 ‘정체성 혼란’이 컸다”며 “연구와 교육을 침해하지 않는 방향에서 사업계획을 설계했다. 산학협력을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마련할 필요는 있다”라고 밝혔다.

특별취재팀 김봉억, 김희연, 유희곤, 윤상민 기자 editor@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