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23:00 (일)
‘트랙제도’ 대안 못돼 … “교육중점에 혜택 늘려 여건 다지자” 공감 확산
‘트랙제도’ 대안 못돼 … “교육중점에 혜택 늘려 여건 다지자” 공감 확산
  • 최성욱 기자
  • 승인 2009.10.12 14: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업적평가 돌파구 없을까

교육영역 교수업적평가 개선에 시동은 걸었는데 똑똑한 네비게이션이 없다. 1990년대 중반부터 4년제 대학에서 널리 쓰기 시작한 교수업적평가가 20년 만에 교육영역을 ‘격상’하자는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교육·연구·봉사영역에서 중점분야를 택해 교수업적평가를 받는 ‘트랙제도’는 대안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는 평이다. 성균관대의 경우 2004년부터 영역별 업적평가로 돌아서기 전까지 트랙제 안에서 교육중점을 택한 교수는 1%에 불과했다. 연구중심대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무시할 수 없는 결과다. 배재현 성균관대 교원인사팀장은 “승진과 재임용, 정년보장심사 등에서 연구실적은 결정적인 요소다. 정년보장심사가 까다로워지고 있는 시점에서 교수들이 교육중점을 택하는 일은 힘들어 보인다”고 말했다.

교육, 봉사영역이 150점 수준인데 연구영역은 수천점까지 치솟는 문제를 보완하려고 영역별 상한제를 두기도 한다. 연구영역을 ‘소외’시켜 영역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은 하향 평준화의 우려를 낳고 있다.

대다수 대학들은 교수업적평가를 종합점수화해 통합형으로 묶는 대신 인센티브로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다. 문제는 인센티브의 불균등이 연구영역 고착화를 심화시킨다는 점이다. 교육영역에서 기대할 수 있는 인센티브는 ‘베스트 티처’ 상금과 영어강의 지원금 정도다. 최근 들어 수백만원에서 조금씩 높여가는 추세지만 연구 논문 1편에 걸린 지원금에 비하면 맥이 빠진다. 국제학술지 게재시 편당 1억원의 연구 장려금을 내건 대학까지 있을 정도다. 배 팀장은 “교육과 연구를 분리시키고 영역별 경쟁을 통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노력 못지않게 교육영역 인센티브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의 질을 평가할 마땅한 지표가 없는 게 사실이다.” 지난 2006년 교과부(당시 교육인적자원부)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교수업적평가 모형 개발’에 연구책임을 맡았던 박남기 광주교대 총장이 최근 한 교육강화 포럼에서 지적한 것처럼 지표개발은 더딘 상황이다. 책임시수, 강의평가, 학생지도, 창의적 교수법, 신교수법 개발 등 현행 교육영역 지표는 일상적 요소로 구성돼있다. 일상적 요소에 변별력을 높여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식으로는 교육의 질이 높아진다고 담보하기 어렵다. 평가를 위한 평가가 되기 십상이다.

이 때문에 실무자들은 교육중점에 혜택을 늘려 교육 풍토와 여건을 성숙시키는 작업부터 시작해야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다. 정년을 보장받은 경력교수들을 교육중점으로 유도하거나 교육전담 교수를 활성화 하는 데 비정년 트랙 및 시간강사들의 처우 개선 문제와 함께 풀어가는 것도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이다. 이 외에도 연구에 집중해야 할 현실적 고민을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풀어주는 보완체계도 갖춰야한다.

최성욱 기자 cheetah@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