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07:45 (토)
[특집]동아시아 대학 개혁보고
[특집]동아시아 대학 개혁보고
  • 손혁기 기자
  • 승인 2002.03.0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라마다 사회·문화·경제적 환경이 다른 것처럼 대학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도 다르다. 그러나 시장개방으로 국가간의 장벽이 무너지면서 이제는 전세계 대학이 미국식 잣대로 한 줄 서기에 여념이 없다. 우리신문은 이번호 부터 중국, 일본, 싱가폴의 현지 교수와 연구자들을 통해 각국의 대학개혁 현황을 소개한다.

글 싣는 차례
1.중국:211공정과 합병②일본:국립대학 법인화 ③싱가폴:월드 클래스 유니버시티 프로그램

중국의 교육시장 개방 대책

“중국은 교육대국일 뿐 교육강국은 아니다.” 이는 최근까지 중국인들이 갖고 있던 냉철한 평가이며 보편적인 시각이기도 하다. 개방으로 대학부문도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지만 아직까지 세계일류수준의 대학과 비교해서는 많이 뒤쳐져 있다는 것이 중국당국의 인식이다. 요즘 중국교육계에서는 WTO가입이 대학교육에 미칠 영향을 진단하고 그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211공정’을 통해 1백개 대학을 집중 육성해 온 중국은 최근 10개 대학을 다시 선정 세계일류대학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마귀생 주한 중국 대사관 교육처 서기관에 따르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베이징대와 칭화대를 세계일류대학의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3년 동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각각 9억 위안(1천4백4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도 탠진대(天津大學), 난카이대(南開大學), 저쟝대(浙江大學) 등의 대학을 세계선진수준의 대학으로 키우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각각 6억 위안(9백60억원)을 지원한다.

중국의 대학교육환경 확충과정에서 눈에 띄는 것은 대학 내 복지시설과 부속산업의 민영화이다. 대학에 부속된 식당, 병원 등 복지시설과 공장 등 모든 분야를 국가가 계획, 운영했던 중국은 1999년에 ‘전국대학부속산업개혁사업회의’를 개최한 이후 대학산하의 복지시설과 공장들을 사회의 민간기업과 민간인에게 도급을 주었다. 북경, 상해 등 큰 도시들에는 이미 이와 관련한 주식제 산업집단까지 생겨났다. 이를 통해 대학은 순수한 교육과 학문연구기관으로 거듭나게 됐으며 엄청난 자금난에서 벗어나 교육의 건전한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2001년 현재 중국에 유학중인 한국 학생수는 어학연수와 정규대학을 포함해서 2만2천1백여명. 1999년부터 해마다 5천명씩 늘어나고 있다. 현재 중국내에는 중의학 등 자체 특유의 학과를 내세워 유치한 외국인 유학생수가 6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손혁기 기자 pharos@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