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05:15 (일)
새로운 직물의 탄생: 원제국을 겪은 한반도인의 선택
새로운 직물의 탄생: 원제국을 겪은 한반도인의 선택
  • 김재호
  • 승인 2023.11.30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강한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504쪽

 

새로운 직물의 끊임없는 개발로 점철된 고려 후기~조선 초(13~15세기) 직물의 역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신간 『새로운 직물의 탄생-원제국을 겪은 한반도인의 선택』 발간
◆ 내부 기술과 외부 자극을 조합, 새로운 직물을 개발하며 발전해 나간 한국 중세 직물의 역사
◆ 2016년 동 저자가 쓴 『고려의 자기, 원제국과 만나다』 에 이은 고려 후기 한중 교류사 후속작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는 원제국, 아랍, 인도 등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새로운 직물을 끊임없이 개발해 냈던 고려 후기∼조선 초 한국인들의 직물 생산과 수출의 역사를 검토한 신간 『새로운 직물의 탄생-원제국을 겪은 한반도인의 선택』(이강한 저)을 펴냈다. 

이 책은 한반도의 직물이 당시 어떠한 도전에 직면했고, 그런 도전을 고려와 조선인들이 어떻게 기회로 발전시켜 나갔는지를 다양한 문헌 기록과 사료를 통해 짚어 본 경제사적 검토의 산물이다. 

고려와 원제국이 공존하던 13세기 이래, 한반도 직조업계는 외부 직물의 유입, 그로 인한 국내 직조 환경의 교란, 기존 수출품의 위상 변동 등 녹록지 않은 환경에 직면해 있었다.

그러나 바로 이 시기 한반도에는 내부의 전통과 외부의 영향을 고루 반영한 새로운 직물들이 등장하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며 변화해 나갔다.

저자인 이강한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사 전공)는 고려와 조선의 사서는 물론이고, 동시대를 기록한 중국의 사서 및 일본, 미국, 유럽 등의 연구서를 교차 비교하면서 고려인들이 원제국의 직금 직물로부터 영감을 받아 탄생시킨 특수 직금 직문저포(織紋苧布)와, 고려 후기~조선 초까지 한반도인이 생산한 다양한 교직물(交織物)을 검토하였다.

* 직문저포 : 13∼15세기 고려에서 만들어진 특수한 직물로, 원제국에서 유행하던 직금(織金) 기술을 적용한 모시(苧布)를 가리킨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의 뛰어난 직조 기술과 아름다운 자수 문화, 모시 등의 우수한 인피직물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책은 2016년 저자가 쓴 『고려의 자기, 원제국과 만나다』에 이은 고려 후기 한중 교류사 후속작이라 할 수 있다. 전작이 ‘도자기’를 주제로 문헌에 담긴 고려 후기 한중 교역의 정황을 다뤘다면, 이번 신간에서는 ‘직물’에 초점을 맞춰 한반도의 독자적인 직물 생산, 외부 환경으로 인한 변화, 그리고 고려-조선과 원-명 간의 교역을 고찰했다. 

오랫동안 고려사를 연구해 온 저자의 이 책이 13~15세기 한국 직물의 생산과 수출의 역사는 물론, 당시 한반도의 대외 교류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