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22:45 (토)
한국문학과 그림의 문화사 1
한국문학과 그림의 문화사 1
  • 김재호
  • 승인 2023.11.14 15: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정은 지음 | 소명출판 | 397쪽

이 책은 한국문학과 그림의 종합적 발전 과정을 다룬 문화사의 첫 번째 시리즈이다.

문학과 그림의 친밀한 관계에 대해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동서를 막론하고 입을 모았다. 이 책은 문학과 그림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익숙한 전제를 근거로 한국의 언어예술과 시각예술이 어떤 관계를 형성하며 성장했는지 긴 노정을 추적한 것이다. 현대 학문 체계 속에서 한국의 문학사와 미술사 연구는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 여세를 몰아 이 책은 고대부터 근대까지 문학과 그림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의 흐름을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기획되었다.

1권의 부제는 ‘민족의 정체성’, 2권의 부제는 ‘사대부의 향연’, 3권의 부제는 ‘무명인의 혁신’이다.

1권에서는 우선 문학과 그림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점검했다. 그리고 선사시대에서부터 고대와 중세를 거쳐 구한말까지 한민족의 문화 정체성을 형성했던 주요 내력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암각화를 기점으로 신화와 고구려 고분 벽화를 통해 한국 고대 문화의 특징에 접근했다. 이어서 우리가 동아시아 중세 문명권의 일원이 되어 한자와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어떤 위업을 달성했는지 다양한 한문학 작품과 금석문, 서예, 대장경, 변상도, 팔상도 등을 통해 확인했다. 그리고 산문문학에서 강감찬 설화와 강민첨 초상화가 별도로 전승되는 이유를 비롯하여 주요 작품의 양상을 거론했으며, 운문 문학에서 특별히 그림을 다룬 제화시를 필두로 어부가와 어부도 및 영물시와 화훼영모도의 공존 가치 등 핵심 작품의 존재 의미를 언급했다. 이어서 조선이라는 상징적 왕조가 개국하면서 독자적인 중세 문화를 형성했던 과정을 건국 신화와 악장, 의궤, 팔준도, 삼강행실도 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한양과 함흥이라는 특정 공간을 중심으로 탄생한 새로운 유형의 문학과 그림을 대상으로 그 역사적인 가치를 탐색했다.

2권은 고려후기부터 조선시대 사대부의 고급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2027년 출간 예정이다.

3권은 조선 중기 이후 폭넓은 무명인의 대중문화를 대상으로 하며, 2030년 출간 예정이다.

이 책은 문학과 그림의 동반적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다. 저자는 고전문학 전공자이지만 한국 고전의 정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뿐만 아니라 시각 자료를 포괄하여 문화론적 범주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언어예술과 시각예술 각각의 미시적인 연구도 중요하지만, 가능한 많은 자료를 투시하고 문학 장르와 그림 장르의 개별적인 관점을 통합하여 이 두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한국 문화의 대축척 지도를 그리고자 했다.

물론 문학과 그림은 다른 면도 있다. 이처럼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기 때문에 흥미로운 경우의 수를 창출하면서 시대에 따른 부침을 보이며 성장해 왔다. 그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 한국 문화의 탄탄한 뿌리와 성장 과정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