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7:25 (토)
한국전쟁과 지역사회
한국전쟁과 지역사회
  • 김재호
  • 승인 2023.10.17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윤정 지음 | 소명출판 | 316쪽

역사학계에서는 지역사와 경찰사가 연계된 연구 성과를 찾아보기 어렵다. 저자는 가장 큰 이유로 경찰 문서의 보존기간 경과로 인한 자료 확보의 불가능성에 있으며, 설령 남아있다 하더라도 당국의 공개에 관한 폐쇄적인 결정 때문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그는 연구자들이 개인이 소장한 자료를 발굴하지 않는 이상 새로운 연구 결과를 내기 어려운 현실에 처해 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분위기 속에서 저자는 미군정기 때부터 1950년대 까지 전라북도 김제경찰서에서 근무하였던 한 경찰관이 소장하였던 경찰문서 등을 입수하였다. 그 문서들은 한국전쟁기 김제경찰서의 모든 활동을 수기로 정리한 『관내상황』, 전라북도경찰국이 수복한 후 처음으로 전투상황을 기록한 『1950년 11월 관내상황』, 각종 사찰 문서와 주민의 탄원서 등으로, 모두 중요한 내부 자료들이었다.

저자는 이 문서들을 정리·분석을 하였지만 현지에 가지 않고선 보다 더 깊은 연구를 할 수 없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고 김제시 부량면과 만경읍 등에서 2년을 거주하면서 이들 자료에 나온 마을 등을 방문하거나 주민들을 접한 후 마침내 본서를 완성하였다.

저자는 다양한 1차 자료를 통해 경찰이 한국전쟁이 전개되는 동안 무력을 기반으로 국체를 보존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갔다는 것을 밝혀 나갔다. 먼저, 경찰은 전시라는 이유로 인체의 신경망과 같은 조직을 적극 활용하며 주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다음, 정전된 후에는 ‘반공국가’를 수호하기 위하여 빨치산간의 전투를 치열하게 수행하였다. 이어, ‘반공국민’으로 존속시키기 위하여 일제강점기부터 계속된 사찰활동을 극대화하였다.

그럼에도 지역 주민들은 야만의 시대에 행해진 경찰의 일탈행위를 보고만 있지 않았다. 주민들이 김제경찰서에 제출한 탄원서 등을 분석한 결과, 그들은 단독 또는 마을 주민의 대표자로서 각종 부조리를 바로 잡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저자는 그 과정을 가능한 상세하게 당시 김제경찰서와 전라북도 경찰국의 내부 문서 등을 중심으로 이 책에 담고자 하였다. 게다가 보론에서 미군정기부터 한국전쟁까지 경찰관들의 복무규율과 징계 현황까지 고찰하여 당시 얼마만큼 경찰관들이 처벌을 받았는지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저자인 경찰대학 이윤정 교수는 가장 전통적인 역사학 연구방식인 문헌 중심으로 연구하는 경찰사학자로 알려져 있다. 이 교수의 연구 성과는 그가 인용한 자료 대부분이 미군정기부터 1950년대까지 경찰기관이 직접 작성한 문서들이므로 경찰과 관련된 역사상을 정확하게 볼 수 있게 한다고 평가되고 있다. 본서에 나온 「DP 체포에 관한 건」, 「휴전회담을 위요한 비상사태 대비에 대한 비상경계 실시계획의 건」 등도 한국전쟁기 지역사회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경찰의 활동과 직결된 것들이다.

서문에서 이윤정 교수가 “하나의 역사상은 ‘사료’라는 많은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점이 다양하고 상세할수록 이 역사상은 더욱 구체적이고 입체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지금 우리가 보는 역사상은 ‘정답’이 아닌 ‘해답’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이유가 바로 새로운 ‘사료’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한 것처럼 독자들은 한국전쟁 동안 지역사회에서 점철된 경찰의 ‘전투’, ‘동원’ 그리고 ‘사찰’이라는 사실(史實)을 그가 발굴한 ‘경찰 내부문서’인 ‘사료’를 통해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