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05:15 (일)
“평생교육 대전환으로 지역 소멸 시대 해결하자”
“평생교육 대전환으로 지역 소멸 시대 해결하자”
  • 신다인
  • 승인 2023.03.08 15: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일 '대한민국 평생교육 및 평생직업교육 대전환 정책포럼' 개최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2023 대한민국 평생교육 및 평생교육 대전환 정책포럼’이 개최됐다. 사진=신다인 기자.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2023 대한민국 평생교육 및 평생교육 대전환 정책포럼’이 개최됐다. 사진=신다인 기자.

“일을 갖기 위해 필요한 교육이라는 의미의 직업교육은 준비교육, 재교육을 넘어 평생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재구성되고 있다.”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

지난 7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2023 대한민국 평생교육 및 평생교육 대전환 정책포럼’이 개최됐다.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협회와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국회 교육위원회 이태규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과 김영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서대문구을)이 주최했다.

이번 포럼은 제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2023~2027)을 중심으로 정책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평생교육의 발전 방향을 짚어보고, 평생교육 시대 대학의 역할과 지역적 과제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남성희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협회 회장은 “이번에 수립된 제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은 제1과제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는 정부의 평생교육 정책에서 대학이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직업교육 중심의 전문대학 입장에서는 평생직업교육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했다.

우동기 위원장은 영상으로 축사를 전했다. 우 위원장은 “평생학습 상시 플랫폼으로서 지방대학의 역할 확대 역시 무엇보다 지방의 입장에서, 지방이 주도해 추진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우 위원장은 “대학은 이제 지역사회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지방정부, 교육청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직접적으로 향상하고, 정주와 취업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조강연을 맡은 강대중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원장은 “교육개혁의 거시 목표는 공교육 강화를 넘어 평생교육 진흥이 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평생학습사회를 실현하는 평생교육의 진흥이 그간의 학교 중심 교육이 빚어낸 교육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돌파구뿐만 아니라 증발과 소멸의 시대를 살아내며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다”라고 덧붙였다.

강 원장은 “평생교육 대전환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며 이를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강 원장은 온 국민에게 평생학습 ID를 발급해 디지털 평생학습 거대 네트워크 구축, 국가합습경험인정제 도입, 학점은행제나 K-MOOC와 같은 비형식학습의 결과를 학점과 학력으로 인정하는 체계를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평생학습집중진흥지구, 한국형커뮤니티칼리지 정책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고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생교육과 라이즈 사업의 연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신민선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회장(서울여대‧교양대학)은 교육부가 제시한 지역 주도의 대학지원 추진 방향과 5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과 상당 부분 일치한다며 “라이즈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 체계 사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지자체 전담 기관(비영리 법인)에 지역 주도의 예산을 지원하는 계획이기에 시‧도평생교육진흥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역할을 기대한다. 무엇보다 교육부의 의지가 더 중요하다. 평생교육법에 명시돼 있는 시‧도평생교육진흥원의 위상과 추진체제 정립을 위해서라도 라이즈 사업은 중요한 연결고리”라고 말했다.

이상석 전국전문대학산학처단장협의회 회장(부산과기대‧자동차학과)은 챗GPT로 발표 자료를 만들어와 사회변화를 보면 교육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저출산과 고령화 속 수도권 집중으로 지방 소멸과 지방 대학이 위기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의 실정을 고려한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산업의 질을 높이는 방식의 평생직업 교육이 절실하다. 학습자의 생활 기반인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연계하는 지역 맞춤형 평생직업교육을 위해서 지자체와 지방대가 협력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때 지역과 대학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지정토론회에서 김현수 교수는 “지역의 교육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지정토론회에서 김현수 교수는 “지역의 교육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정책제언과 전문대학의 역할에 대한 지정토론도 이어졌다. 김태준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원은 “현재 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이나 라이즈 사업은 대학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역혁신은 근본적으로 지역 평생학습생태계를 기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역혁신플랫폼 구축은 중등교육에도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수 순천향대 교수(평생교육학부)는 “지역의 교육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지역은 꼭 지자체를 말하지 않는다. 광역과 기초 지자체뿐만 아니라 시도교육청, 대학, 산업체, 지역사회 모두를 말한다. 평생직업교육의 대전환이 수도권에서만 일어나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하유경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기획과장은 “평생교육과 직업교육 사이에 존재하는 칸막이를 허물겠다”며 “평생교육 대전환의 성공 여부는 지역과 지역 산업, 지역인재의 유기적 결과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국회 교육위원회 여야 간사인 이태규, 김영호 위원, 고석규 전국시도평생교육진흥원협의회 회장과 남성희 전문대학평생직업교육협회 회장,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의장,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신다인 기자  shin@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