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옥스퍼드 900년 역사가 주는 교훈 [학문의 주먹⑤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현대국가는 지식국가이다. 지식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대학에서 나온다. 그런데, 대학과 학문이 붕괴되고 있다. 한국만큼 대학에 투자하지 않는 국가도 없다. 대학과 학문, 교육에 대한 비판적이고 통찰력 있는 분석이 필요한 때다. 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쓰고, ‘지식과 권력’ 3부작을 내놓았던 김종영 경희대 교수(사회학과)가 도발적인 문제제기에 나섰다. 학문과 정책(정치)의 연결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한국대학의 역사는 기껏 100여년 밖에 되지 않았다.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하버드, 프린스턴에 주눅 들어 학문의 주먹 | 김종영 | 2023-01-11 08:58 바이든은 왜 반도체에 목숨을 걸게 됐을까 [학문의 주먹④ 반도체의 총균쇠, 크리스 밀러의 『반도체 전쟁』] ‘이렇게 재밌는 반도체 책이 있을까!’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이렇게 감탄했다. 밀러의 책은 반도체의 『총·균·쇠』다. 이 책은 ‘반도체의 빅 히스트리’로서 나 혼자만 알고 싶은 사실들로 가득하다. 이 책은 21세기의 전쟁은 반도체 전쟁이며 반도체가 국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학문의 주먹 | 김종영 | 2022-11-23 08:51 대학 총장의 본질은 ‘거지’다 [학문의 주먹③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현대국가는 지식국가이다. 지식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대학에서 나온다. 그런데, 대학과 학문이 붕괴되고 있다. 한국만큼 대학에 투자하지 않는 국가도 없다. 대학과 학문, 교육에 대한 비판적이고 통찰력 있는 분석이 필요한 때다. 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쓰고, ‘지식과 권력’ 3부작을 내놓았던 김종영 경희대 교수(사회학과)가 도발적인 문제제기에 나섰다. 학문과 정책(정치)의 연결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 대학 총장들은 용산과 여의도에 가서 한국 대학이 한국 경제를 견인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고 4차 산업혁명을 학문의 주먹 | 김종영 | 2022-11-02 09:10 ‘맑스의 지옥+베버의 지옥+여자의 지옥’을 벗어나는 탈출법은 [학문의 주먹②] 현대국가는 지식국가이다. 지식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대학에서 나온다. 그런데, 대학과 학문이 붕괴되고 있다. 한국만큼 대학에 투자하지 않는 국가도 없다. 대학과 학문, 교육에 대한 비판적이고 통찰력 있는 분석이 필요한 때다. 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쓰고, ‘지식과 권력’ 3부작을 내놓았던 김종영 경희대 교수(사회학과)가 도발적인 문제제기에 나섰다. 학문과 정책(정치)의 연결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세계 최저 출산율은 맑스의 지옥, 베버의 지옥, 여자의 지옥이 강력하게 결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헬조선은 학문의 주먹 | 김종영 | 2022-10-13 09:11 교육부 장관이 알아야 할 제1원칙 [학문의 주먹 ① ‘학부모는 대통령도 이긴다’] 현대국가는 지식국가이다. 지식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대학에서 나온다. 그런데, 대학과 학문이 붕괴되고 있다. 한국만큼 대학에 투자하지 않는 국가도 없다. 대학과 학문, 교육에 대한 비판적이고 통찰력 있는 분석이 필요한 때다. 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쓰고, ‘지식과 권력’ 3부작을 내놓았던 김종영 경희대 교수(사회학과)가 도발적인 문제제기에 나섰다. 학문과 정책(정치)의 연결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교육부 장관이 알아야 할 제1원칙은 무엇인가? 그것은 ‘학부모는 대통령도 이긴다’라는 학문의 주먹 | 김종영 | 2022-09-21 09:05 학문과 대학이 붕괴되고 있다…지배당할 것인가, 싸울 것인가 [‘학문의 주먹’ 연재를 시작하며] 한국 대학과 학계 도처에서 학문의 주먹들이 울고 있다. 국가와 정치의 수준을 눈뜨고 봐줄 수 없다. 보수와 진보 모두 마찬가지다. 지난 15년 동안 정부는 대학에 투자하지 않아 대학은 쓰레기통에 처박혔다. OECD 통계가 보여주듯 초등학교보다 못한 투자를 받고 있는 곳이 한국 대학이다. 학문의 주먹 | 김종영 | 2022-08-31 09:13 처음처음1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