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7 10:25 (토)
7명 중 1명 ‘비정년’…1년 단발 계약 등 신분불안 심해
7명 중 1명 ‘비정년’…1년 단발 계약 등 신분불안 심해
  • 김봉억 기자
  • 승인 2005.04.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05년 상반기 신임교수 임용 현황]3.비정년트랙 얼마나 뽑았나

올해 상반기 신임교수 2천4백19명 가운데 비정년트랙 임용 교원은 41개 대학에서 3백60명(14.9%). 7명 중 1명은 비정년 트랙이다.

임용숫자로만 따지면 홍익대가 93명 가운데 79명(85%)으로 가장 많은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을 뽑았고, 위덕대가 49명 가운데 42명(85.7%), 청주대가 27명 가운데 26명(96.3%)을 비정년 전임교원으로 임용했다. 다음으로 광운대(24명), 남서울대(24명), 동아대(20명)도 20명 이상 비정년트랙을 적용해 신임교수를 뽑았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수의 신분불안 초래, 단기계약 확대, 악용의 소지 등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용과 대학간 이동성 제고라는 긍정적 측명을 들어 비정년트랙을 ‘전임교원’으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교원확보율 확충에 나선 대학들이 속속 도입하고 있다.

1년짜리 ‘단명교수’ 수두룩
47명을 비정년트랙으로 뽑은 위덕대는 계약조건이 1년 단발이다. 다른 대학의 경우 보통 2년 계약에 2~3회 재임용 심사 기회를 부여하고 있는 반면 위덕대는 1년 계약후 재임용 심사 기회가 아예 없다. 지난해까지 1년 계약에 제한없이 재임용 심사 기회를 부여했지만 올해부터는 관련 규정을 바꿔 1년 계약후 재임용 심사 자체를 없앴다.

이 대학의 관계자는 “정상적으로 뽑을려고 하면 올해 만큼 뽑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대학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과 존속 여부 등 학과 전망이 불투명해 ‘비정년트랙’을 많이 뽑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망있는 학과의 경우 ‘비정년’에서 ‘정년’으로 전환하기도 한다”고 덧붙엿다.

“비정년트랙, 안정적 연구 어렵다”
홍익대는 비정년트랙 임용수로만 따져 가장 많은 79명을 뽑았다. 이 가운데 63명이 외국인 교원. 홍익대는 영어, 일어,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 교원 1인당 40명씩 맡던 수업을 15명씩 맡도록 했다. 또 산업미술․건축도시․미술대학원 등 특수대학원에 전업작가 등 20년이상의 실무 경력자를 대상으로 비정년트랙을 적용했다. 숙명여대는 교무처 소속의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와 숙명리더십개발원에 국한시켜 ‘강의 전담’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을 11명 뽑았다.

지난 2003년 비정년트랙을 처음 적용해 신임교원을 뽑았던 연세대는 오히려 비정년트랙 신임교원 숫자가 줄어 들었다. 연세대는 지난해 상반기에 1백37명을 새로 임용하면서 52명을 비정년트랙으로 뽑았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59명 가운데 2명을 비정년트랙으로 임용했다.  올해 하반기에도 90여명을 더 채용할 계획인데 이 가운데서도 3명을 비정년트랙으로 임용할 계획이다.

비정년트랙을 도입하지 않은 한 대학 관계자는 “최근 재임용탈락 관련 법령이 정비되고 있는데 계약기간 만료 후 재임용을 요구하거나 교원소청심사위원회에 소송을 걸면 곤란한 경우도 생길 수 있을 것”이라며 비정년트랙 도입에 대한 조심스런 입장을 밝혔다.

올 상반기에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으로 임용된 수도권 소재 대학의 김모 교수는 “전업강사의 처우개선에는 일정정도 도움이 되겠지만 ‘정규직’ 전환 문제로 판단을 해야 한다”면서 “자기 자리에 있으면서도 다른 자리 곁눈질 하게 돼 안정적 연구가 안된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올해 숫적으로 가장 많은 수의 교수를 뽑았다고 하지만 내용적으로, 질적으로 그렇게 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학교측의 ‘권한’남용일 수도
또 다른 대학의 비정년트랙으로 임용된 이모 교수는 외국대학으로 유학을 갔다 온 사이 한국대학의 변화된 임용조건을 모르고 지원한 사례다. 비정년으로 있다가 ‘연구업적’이 인정되면 다시 ‘정년’으로 될 수 있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던 것. 이 교수는 “학교측에서 임용권한을 남용하고 있다”고 서슴없이 말했다. 적은 인건비로 교수 확충을 위한 편법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대학교수 되기가 힘드니까 이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위안을 삼는다. 그는 “학생에게는 ‘교수’이지만 책임감이나 소속감은 덜하다”며 “당장은 강의 준비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없지만 정년보장을 해주는 것도 아니고 다른 곳을 알아 볼 것”이라고 밝혔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