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5:35 (금)
쟁점2: 조국 딸 사태 근본원인, 승자독식의 실력주의
쟁점2: 조국 딸 사태 근본원인, 승자독식의 실력주의
  • 김범진
  • 승인 2019.09.27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든 능력을 ‘세습되지 않은 재능과 노력의 산물’로 보고 격차를 정당화하는 견해
무한경쟁과 승자독식으로 가다보니 사회 전체가 고통스러워
소득의 분배 지나치게 불공평
대학서열 타파, 해법 못돼
사회 경쟁이 교육에 나타나는 것
학교 경쟁없으면 사회도 경쟁없나
박남기 광주교대 전임총장
박남기 광주교대 전임총장

최근 ‘조국 딸 사태’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입시 공정성 강화”를 언급하자 교수 등 전문가들은 대학서열 타파를 주장했다. 입시 제도 수정이 실질적으로 교육격차로 인한 기회불평등이라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을뿐더러, 정시를 강화하는 것은 창의성이 강조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인재를 기르는 데도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부 교수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실력주의’(meritocracy) 시스템을 지적하고, 교육개혁에서 답을 찾는 것만으로는 근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광주교대 전임 총장이자 책 <실력의 배신>을 쓴 저자인 박남기 교수는 19일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한국대학학회와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등이 대학서열 타파를 해법으로 제안한 것에 대해 “대안이 될 수가 없다”고 밝혔다. 대학 서열을 타파하면 기업들은 또 다른 무엇인가를 평가 기준으로 삼게 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그렇게 되면 그 기준은 더욱 더 불공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예전에 객관식 시험이 타당성이 없다 해서 시험을 없애고 면접을 강화했더니 나타난 게 KT 부정 채용 문제였다. 전부 다 빽으로 들어갔던 것”이라고 밝힌 뒤 “뭐가 됐건 간에 무한경쟁, 승자독식의 실력주의 사회에서는 서로 그걸 차지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지금 우리가 제일 착각하는 게 하도 경쟁이 심하니까 교육이 경쟁을 조장한다고 하는데 그런 말도 안되는 소리가 어디 있나. 사회의 경쟁이 교육에 나타나는 거지, 학교가 경쟁을 안 하면 사회가 경쟁을 안하는가”라고 주장했다.

실력주의 사회는 개인의 실력에 따라 사회적 재화를 배분하는 사회다. 박 교수의 저서 <실력의 배신>에 따르면, 우리 사회가 실력주의 사회 신화를 신봉하는 바탕에는 ‘실력 형성 요인’에 대한 오해가 놓여 있다. 실력이란 부모나 다른 요인과 무관하게 개인의 노력으로 얻어진 결과이고, 또한 그럴 수 있다는 착각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착각 때문에 실력을 기준으로 사회적 지위와 재화를 배분하는 것은 공평하다는 신화가 사회 내에서 별다른 의심 없이 받아들여지게 되었다는 것이 박 교수의 설명이다.

그러나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실력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그 대표적 인사다. 그는 “누가 이기고 누가 지는지의 차이가 점차 우연과 예상하지 못한 선택에 좌우되고 있는 것이 분명함에도, 그런 우연을 필연인 것처럼 가장하는 게 시대의 유행이 되고 있다”면서 실력주의를 강하게 비판한다.

실력주의라는 용어를 만든 마이클 영은 1958년 “실력주의 사회의 끝은 사회 붕괴”라고 예언하면서 “정부는 실력주의를 완벽히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실력주의 사회의 그림자를 옅게 하는 데 모든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남기 교수는 우리 사회가 실력주의를 선택하게 된 데는 세계 강대국과의 치열한 경쟁 등으로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며 실력주의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문제는 무한경쟁과 승자독식으로 가다보니 사회 전체가 너무 고통스럽다는 것이다. 지금은 실력에 따른 소득의 분배가 너무 불공평하다”라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특히 우리 사회의 임금 격차를 ‘미쳤다’고 표현했다. 공기업과 대기업 임금은 우리보다 국민소득이 높은 일본과 비교해도 훨씬 높은 반면 중소기업 임금은 너무 낮으며, 이러한 문제의 가장 큰 이유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관계가 불공정한 데 있다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이에 덧붙여 “학벌을 타파하면 실력주의 사회가 된다는 사람들의 믿음과는 정반대로 오히려 실력주의가 학벌사회를 만든 원인”이라고 밝히면서 “교육이 할 수 없는 걸 교육이 할 수 있다고 착각하면서 온 사회와 국가와 학교가 다 교육한테 덤터기를 씌워서 교육을 지지고 볶은 것”이라고 말했다. 김범진 기자 jin@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