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8 18:50 (일)
교수노조 고등교육 웹진 창간 … PDF로 만들어 무료 배포
교수노조 고등교육 웹진 창간 … PDF로 만들어 무료 배포
  • 권형진 기자
  • 승인 2014.09.01 12: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편집인 임재홍 방송대 교수 “특정 주제 깊고 쉽게 풀어서 전달”

“교육부가 신자유주의적 관점에서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굉장히 심각한 폐해나 부작용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일반 국민은 물론 교수들도 그 의미나 맥락을 잘 모른다. 대학 자율화니 선진화니 하는 표현을 사용하니까 겉으로는 안 드러나는 것이다. 이렇게 왜곡되고 은폐된 고등교육 정책의 본질을 정확하게 보여줌으로써 고등교육을 시장에 맡기는 교육민영화가 의료민영화만큼이나 위험하다는 사실을 알려 나가겠다.”

교수노조가 1일 창간한 웹진 <대학혁명>의 편집인을 맡은 임재홍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법학, 교수노조 부위원장)
전국교수노동조합(위원장 유병제 대구대)이 웹진 <대학혁명>을 1일 창간한다. 편집 책임을 맡은 임재홍 교수노조 부위원장(한국방송통신대·사진)은 “정책이나 법령이 어떤 맥락에서 만들어지고 있고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고등교육정책에 대한 안목과 관점을 대학 구성원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 전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말했다. <대학혁명>은 월간 웹진이다. PDF 형식으로 만들어 무료로 배포한다. 교수·교육단체뿐 아니라 고등교육에 관심 있는 학부모 단체 등에도 배포하고, 교수노조 홈페이지(www.kpu.or.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일반 국민들까지 독자로 끌어오겠다면서 대학‘혁명’이라는 제호는 너무 과격하지 않을까. “그만큼 우리 대학 구조의 왜곡이 심각하다. 그래서 개혁만으로 되겠느냐, 혁명이 필요한 상황 아니냐. 혁명적 관점을 갖고서 출발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담았다. 국민들에게도 다가갈 수 있는 내용과 형식을 갖춰나가는 것이 과제다. 특정 주제를 깊게 들어가되 쉽게 풀어서 전달하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

임 교수 말마따나 교수노조가 웹진을 창간했다는 사실 자체가 우리 고등교육을 둘러싼 상황이 암혹하다는 상황을 에둘러 보여준다. 우선 교수부터가 자기 학문 분야 외에는 대학 문제에 관심을 갖기 힘들다. “평가를 통한 경쟁 체제로 들어가다 보니 교수사회도 옛날처럼 상호 협력하는 분위기가 없고,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못 갖게 되는 것”이다. 언론은 또 어떤가. 대학 구조조정을 ‘교수 철밥통’ 문제로 협소하게 바라보면서 그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대학이 반개혁적 집단인 것처럼 오도하는 측면도 있다. 임 교수는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이나 법률의 문제점을 전문가적 입장에서 빨리빨리 알리는 데는 웹진이 효율적일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대학혁명>은 크게 고등교육 현안에 대한 시평을 담은 ‘교수시평’과 신자유주의 구조조정 정책이 개별 대학에서 어떤 폐해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는 ‘대학가 비평’, ‘정책’과 ‘교육 관련 법령’ 해설 등으로 구성된다. 이슈가 되는 정책을 집중적으로 파헤치는 ‘특집’ 코너도 마련했다. 창간호에서는 성과연봉제, 기성회비, 국립대 재정회계법 등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국립대 관련 이슈를 ‘특집’으로 다뤘다. ‘정책’에서는 특성화 사업 평가를, ‘교육 관련 법령’에서는 정부·여당이 발의한 대학구조개혁법 해부와 의견을 담았다.

교수노조가 창간한 고등교육 웹진 <대학혁명> 편집 실무를 맡고 있는 임재홍 부위원장, 오제도 사무차장, 황성희 사무국장(사진 오른쪽부터 반시계방향).
‘서평’에 실린 「영국 교수운동의 교훈」도 눈여겨볼 만하다. 임 교수는 “지난 30년 동안 영국에서 신자유주의 정책이 어떻게 전개돼 왔는지 봄으로써 지금 한국에서 펼쳐지고 있는 정책들이 어떤 맥락에서 나왔는지 이해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며 “우리보다 일찍 신자유주의 정책을 해왔던 나라들에서 고등교육이 어떻게 변모 내지 변질되고 있는지 소개함으로써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인물 인터뷰’와 ‘교육단체 소개’ 코너도 정착해 나갈 계획이다.

임 교수는 “고등교육 개혁이 어떤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고등교육의 의미나 본질에 대해 제대로 된 관점을 가질 수 있는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언론이 사실 관계를 전달하는 데 하나의 기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사진 권형진 기자 jinny@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