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9:15 (금)
대학원 교육 질 제고? ‘시간강사’ 해결 없인 사상누각!
대학원 교육 질 제고? ‘시간강사’ 해결 없인 사상누각!
  • 권형진 기자
  • 승인 2010.07.12 13: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제는 대학원이다] ④학문후속세대 의견조사

학문후속세대 양성에서 학위 수여 기관으로의 전락. 국내 대학원이 처한 현실을 거칠게 정리하면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국내 박사학위가 낮게 평가되면서 우수한 학생은 해외 대학원으로 빠져나가고, 이는 다시 국내 대학원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보자는 것이 대학원 교육을 둘러싼 기본 문제의식이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도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박사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은 국내 대학원 교육의 문제점과 질 제고 방안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교수신문>은 ‘석·박사 채용정보 웹사이트’ 교수잡(www.kyosujob.com) 회원 가운데 박사과정(수료 포함) 재학중인 25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들어봤다. 국내 대학원 교육에 대해 학문후속세대가 현실적으로 느끼고 있는 문제점과 요구를 제한적이나마 들여다보기 위해서다.

외국보다 ‘장학금·커리큘럼’ 뒤쳐져

국내 박사과정에 다니거나, 국내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후 외국 대학원에 진학한 학문후속세대들은 해외 유수 대학원에 비해 국내 대학원은 ‘장학금 제도’가 가장 뒤쳐진다고 생각했다(복수응답). 응답자의 42%가 1순위로 ‘장학금’을 꼽았다. ‘다양한 커리큘럼’과 ‘교수의 질’이 각각 17%로 다음을 이었다. 2순위로 꼽은 응답 가운데는 ‘다양한 커리큘럼’이 25%로 가장 많았다. 각각 17%의 응답자는 ‘교수의 질’과 ‘행정적인 지원’을  들었다.

대학원장들의 생각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응답자 수 등이 달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교수신문>이 지난 4월 전국 대학원장 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견조사에서는 ‘학위의 질 관리’(80%)를 1순위로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장학금 제도’(78%)가 근소하게 2위를 차지했다. ‘진학 동기 등 학생의 질’(63%), ‘교원 확보율’(61%)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교수신문> 555호, 2010.4.26).

대학원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대학원장과 박사과정 학생 사이에는 입장 차가 느껴졌다. 박사과정 학생들은 ‘시간강사 제도의 개선을 통한 학문후속세대의 지위 안정’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적했다. 시간강사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데에 96%가 뜻을 같이 했다. ‘장학금 제도의 확충’과 같았지만 ‘매우 시급하다’는 의견이 80%에 달했다. ‘박사 학위자의 사회 진출로 보장’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84%나 나온 것으로 보아 박사학위를 취득해도 비전이 없는데 어떻게 대학원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겠느냐는 뜻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비전 없는데 누가 대학원 가랴

대학원장들은 ‘장학금 제도의 확충’에 이어 ‘논문 평가제도의 개선’을 꼽았었다. 박사과정 학생들에게는 세 번째로 많은 동의를 얻었다. 84%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석·박사 과정생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 활성화’ 와 ‘박사 학위자의 사회 진출로 보장’에도 역시 84%가 시급하다는 의견을 보탰다. ‘교수 충원’에 대해서도 80%가 시급하다(시급 32%, 매우 시급 48%)고 응답했다. 그러나 국내 대학원의 질을 높이기 위해 ‘우수 해외교원 유치’가 시급하다는 의견은 48%에 머물렀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원 교육 선진화 방안’에서는 대학원장이나 대학원생이나 생각에 큰 차이가 없었다. 교수 1인당 최대 논문 지도 학생 수를 10명 이내로 제한하는 등의 ‘박사학위 논문 질 제고 방안 마련’에 대해 필요하다는 응답이 96%로 가장 많았다. 논문 질 제고 방안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도 84%에 달했고, 76%는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한국형 GRE’가 급한 게 아니다

박사과정 우수학생에게 생활비, 연구비 등을 지원하는 국가 수준의 석·박사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9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성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2위에 머물렀지만 ‘효과성’(87%)이나 ‘시급성’(88%)에 대해서는 ‘논문 질 제고 방안’보다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학과·전공 프로그램의 평가인증 체제 확립’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은 대학원장 의견조사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로 많은, 79%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대학원장 의견조사에서는 다섯 번째였다. 그러나 효과성(63%)이나 시급성(55%)에 대해서는 다소 박한 평가를 내렸다. ‘민간기관의 평가 강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54%)이 더 많았다.

우수 대학원이나 교육·연구 거점을 지원하는 ‘선도대학원 육성 사업’이나 ‘한국형 대학원입학자격시험(K-GRE) 도입’에는 역시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한국형 GRE도입에 대해 75%가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효과성과 시급성에 대해서는 59%만이 동의했다. 선도대학원 육성 역시 71%가 필요하다고 평가했지만 효과(58%)나 시급성(63%)에 대한 평가는 박했다.

권형진 기자 jinny@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