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6:20 (금)
서울대 재학생, 대학 내 차별 가해자 ‘미디어‧교수’ 꼽아
서울대 재학생, 대학 내 차별 가해자 ‘미디어‧교수’ 꼽아
  • 강일구
  • 승인 2022.12.07 14: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 재학생 인권헌장 찬성 76.5%…반대는 3.8%
차별 경험 높은 학과로 예체능·의학·인문사회 지목
서울대 다양성위원회는 지난 1일 정책포럼을 열어 ‘서울대 인권헌장에 대한 미래세대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픽사베이

서울대 재학생들은 학내 차별의 주요 가해자로 미디어(인터넷 커뮤니티)를 꼽았다. 두 번째로 교수를 들었다. 서울대 인권헌장에 대한 재학생들의 찬성 비율은 76.5%였고 인권헌장에 포함된 인격권, 차별금지와 평등권, 사상‧양심‧종교‧표현의 자유, 연구‧교육‧직무 수행 조건에 대한 권리 등을 명시한 조항에 대한 찬성율은 95%를 모두 넘겼다.

서울대 다양성위원회는 지난 1일 정책포럼을 열어 ‘서울대 인권헌장에 대한 미래세대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올해 10월 18일부터 11월 3일까지 진행됐고, 조사대상은 서울대 학부생과 대학원생 총 3만3천573명(학부생 2만624명, 석사생 9천665명, 박사생 3천284명)이다. 응답률은 15.97%로 조사대상 중 5천363명이 응답했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재학생의 76.5%는 인권헌장에 찬성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동의율은 56%였으나 1년만에 20.5%p 상승했다. 반면, 인권헌장에 반대한다는 재학생은 3.83%였다. 인권 헌장별 내용에 대해서는 재학생의 99.2%가 헌장의 인격권에 찬성했다. 해당 조항은 “서울대 구성원은 신분, 직급, 직위, 성별, 연령 등에 관계없이 모두 대등한 존엄과 인격을 지닌 주체로 대하여야 한다”라고 돼 있다. 또한, 구성원 모두를 차별없이 대할 것과 언행의 차별을 조장하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에 대해서는 95.2%가 찬성했다. 

사회적 배경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을 권리를 명시한 조항에는 재학생 97.2%가 찬성했다. 해당 조항에는 “성적 지향 및 성별 정체성,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이유로 차별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서울대 일각에서는 “동성애 차별금지가 보편적이라는 근거가 없다. 인권헌장에 특정 행위를 비판하는 것은 혐오 프레임”이라거나, “젠더 이데올리기를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라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인권헌장에 포함돼야 할 권리에 대한 재학생들의 의견도 제시됐다. 인격권이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은 남성(61.9%)과 여성(58.1%) 모두에서 비슷하게 높게 나왔고, 차별금지권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성(59.5%)이 남성(42.1%)보다 훨씬 높았다. 폭력으로부터의 자유가 헌장에 포함돼야 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도 여성(33.2%)이 남성(24.6%)보다 높았다. 학문·예술의 자유(연구원)가 포함돼야 한다는 의견은 남성(20.5%)이 여성(19.9%)보다 다소 높았다.

인권헌장 내용 중 동의할 수 없는 조항에 대해 ‘차별금지조항’이라고 답한 재학생은 58.5%로 다른 이유에 비해 많았으나 그 수는 80명밖에 되지 않았다. 학내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24.2%로 2016년 49.6%, 2021년 33.3%이었던 것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차별 경험이 높은 학과는 예체능계열(대학원생·40.4%, 학부생·36.8%)과 의학계열(대학원생·30.9%, 학부생38.1%), 인문사회계열(대학원생·28.7%, 학부생·24.7%)이었다. 법적 성별의 주요 가해자가 학내 미디어(스누라이프·에브리타임 등)라고 답한 재학생은 32.32%였고, 교수라고 답한 재학생은 8.02%였다. 없음이라 답한 비율은 49.38%였다.

차별에 대해 ‘대응하지 않았다’라고 답한 재학생은 86.5%, ‘대응했다’는 13.5%였다. 대응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해결 가능성 낮음(26.37%)’, ‘주변인 관계(20.98%)’, ‘비용 노력 과다(19.04%)’, ‘2차 피해위험(12.27%)’, ‘대응 방식 부지(9.03%)’ 등을 꼽았다. 반면, 차별에 대응했다고 답한 학생들은 ‘직접 시정 요구(47.3%)’, ‘동료 도움 요청(20.2%)’, ‘인권센터(7.6%)’, ‘인터넷·SNS(5.3%)’ 등의 방식으로 대처했다고 밝혔다.

강일구 기자 onenin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