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8:45 (금)
종과 종이 만날 때
종과 종이 만날 때
  • 김재호
  • 승인 2022.09.20 1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나 해러웨이 지음 | 최유미 옮김 | 갈무리 | 464쪽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오늘날 반려동물은 우리에게 진정한 가족이 되었다. 하지만 인간과 동물을 비롯해서 다른 생명체들, 경관들, 그리고 기술들로 매듭이 묶인 반려종이라는 개념에는 반려동물 이상의 훨씬 많은 것이 담겨 있다. 『종과 종이 만날 때』에서 도나 해러웨이는 이 크나큰 현상을 파헤치면서 인간과 여러 종류의 크리터들, 특히 가축이라 불리는 것들과의 상호 작용을 숙고한다. 명품 반려동물에서부터 실험실용 동물 그리고 훈련된 우울증 치료견에 이르기까지, 해러웨이는 동물과 인간의 마주침의 철학적, 문화적, 생물학적 측면들을 능숙한 솜씨로 탐구한다. 이 대단히 개인적이면서도 지적으로 획기적인 작품에서 그녀는 ‘반려종’ 개념을 발전시킨다. 반려종들은 만나서 함께 식사를 하지만 소화불량을 겪기도 한다. 결국 그녀가 찾아낸 것은, 존중과 호기심 그리고 앎이 동물과 인간의 조우에서 비롯되며 이것들이 인간예외주의에 대항해서 강력하게 작동한다는 사실이다.

 

 

닥치고 훈련! 빨리 뛰어, 세게 물어!

도나 J. 해러웨이(Donna J. Haraway)는 세계적인 페미니즘 사상가이자 생물학자, 과학학자, 문화비평가이다. 1944년생으로 콜로라도 대학에서 동물학, 철학, 문학을 전공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와이 대학과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여성학과 과학사를 가르쳤고 1980년부터 캘리포니아대학 산타크루스 캠퍼스의 의식사학과 교수였으며, 지금은 동 대학의 석좌교수이다. 해러웨이는 남성/여성, 인간/동물, 유기체/기계 같은 이분법적 질서를 해체하고 종의 경계를 허무는 전복적 사유로 명성이 높다.

1985년 전 세계를 놀라게 한 「사이보그 선언」에서 해러웨이는 “세속적(earthly) 생존을 위해 사이보그를!”이라는 슬로건을 제시했다. 「사이보그 선언」은 테크노사이언스에 대한 진보 진영의 무조건적인 반대가 얼마나 순진한 것인지를 날카롭게 비판하면서 만약 정보통신 시스템의 최말단에서 일하는 유색인종 여성 같은 페미니스트가 사이보그가 된다면 테크노사이언스는 어떻게 바뀔지를 물었다. 해러웨이는 사이보그는 1980년대 중반 레이건의 스타워즈 시기에 페미니스트 작업을 위해 만들어진 형상이라고 말한다.

2003년 발표된 해러웨이의 두 번째 선언인 반려종 선언의 주인공은 보통의 개다. 이 두 번째 선언에서는 “닥치고 훈련!” “빨리 뛰어, 세게 물어!”로 슬로건이 바뀐다. 해러웨이는 부시의 후예들이 ‘자연문화’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는 시대에 필요한 구호는 이것이라고 말한다. 

이 구호와 ‘자연문화’의 연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우선 ‘자연문화’는 자연과 문화를 가르는 이분법을 비판하기 위해 해러웨이가 사용하는 용어다. 해러웨이는 ‘자연문화’가 띄어쓰기 된 두 개의 단어가 아니라 붙여 쓰는 한 단어임을 강조하기 위해 자연문화를 뜻하는 영어 낱말 “네이처컬처”를 다른 단어보다 빠르게 발음하며 강의하기도 한다. 자연과 문화의 이분법에 따르면 자연에서 태어난 생물종 중 자연을 개조하고 변형하여 문화를 만든 능력을 가진 유일한 종은 인간이다. 해러웨이는 여러 저작들에서 다양한 개념무기들로 이 이분법을 내파해 왔다. ‘반려종’도 한몫을 한다. 해러웨이에 따르면 인간예외주의는 반려종이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반려종 선언』의 구호와 관련하여 알아야 할 두 번째 사실은 해러웨이가 반려견과 함께하는 스포츠 어질리티의 참여자라는 점이다. 『종과 종이 만날 때』는 해러웨이가 반려견 카옌과 장애물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통과하는 어질리티 스포츠를 함께하면서 알게 된 사실들, 맺게 된 연결들로 가득하다. 해러웨이에게 어질리티 스포츠는 반려종들이 상호 훈련과 돌봄을 통해 존중의 관계를 맺는 법을 체득하는 과정이다. 이 책 『종과 종이 만날 때』(2008)는 『반려종 선언』(2003)의 문제의식을 이어받는 후속 이론서라 할 만하다. 2장과 4장의 일부분은 그 초고가 『반려종 선언』에 실리기도 하였다.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 : 반려종의 복잡한 그물망이 숙고되어야 한다

국민 4명 중 1명이 개 집사이거나 고양이 집사인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에 ‘반려종’이라는 말은 반려동물과 동의어로 받아들여지기 쉽다. 해러웨이의 반려종은 반려동물보다 훨씬 넓은 의미를 띤다. 

해러웨이의 반려종 여정의 입구에는 그녀의 반려견이자 어질리티 스포츠 파트너인 오스트레일리언 세퍼드 견 ‘미즈 카옌 페퍼’가 있다. 해러웨이는 『종과 종이 만날 때』의 도입부에서 카옌이 자신의 세포를 모조리 식민화하고 있다고 쓰며, 책의 끝에 이르면 카옌과의 얽힘으로부터 퍼져간 끈적끈적한 실들이 이 책을 이끌어나간 안내선이었음을 고백한다. 해러웨이는 이 책에서 시리아 골란고원의 이스라엘 입식자들의 목장, 파리의 프렌치 불도그, 미국 감옥에서 개와 수감자들을 관계 맺게 하는 프로젝트, 개 용품 문화 산업의 투자 전망, 생쥐 같은 실험실 동물을 취급하는 연구실과 유전학 연구실에서 벌어지는 일, 야구나 어질리티 스포츠 현장 문화의 보수성과 가능성, 대학의 회식 자리에서 벌어진 채식주의 및 태반 먹기 논쟁, 해양동물 몸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크리터캠> TV 프로그램이 던지는 흥미로운 쟁점들, 공장식 닭고기 산업의 잔혹한 현실, 개 유전학 활동가의 존경스러운 활약상, 길고양이 지원 단체들과의 우연한 연결, 멸종위기종 북쪽털코웜뱃와 예술 상상력의 조우 등을 실뜨기한다. 

이는 해러웨이가 카옌이라는 다른 종과 함께 일상을 보내고 먹고 마시고 관계하는 와중에 만들어진 연결들이다. 해러웨이는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쓰면서 디테일이 제기하는 질문들에 관해 연구하고 “닥치고 훈련!”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복수의 종이 일상에서 식사동료(messmate)로서 관계 맺으며 생기는 문제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어떻게 우리를 세계 속에 위치시키고 돌보게 하고 정치를 자유롭게 상상하고 관계할 수 있게 하는가”(370쪽)가 이 책을 이끄는 질문이라고 해러웨이는 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