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10:55 (토)
주청공사관 일기
주청공사관 일기
  • 최승우
  • 승인 2022.08.26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수복 지음 | 박건웅 그림 | 우리나비 | 114쪽

1903년 봄, 청나라 말기, 각국 외교 공관 건물이 모여 있던 중국 베이징 천안문 동쪽 둥자오민샹 거리 34호 건물에 대한제국이 자주국가임을 널리 알리고 근대화를 모색하는 한편으로 외교 활동의 거점이 되고자 ‘주청공사관’이 들어선다. 대한제국 주청공사관 설치는 청나라의 그늘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가 담긴 조치였다. 조선 말 학자 황현의 ‘매천야록’에 따르면, 고종은 당시 건물 구입과 수리에 15만 원 내탕금(왕실 예산)을 지원했다고 한다.

그 이유에 대해 황현은 “처음으로 청나라와 대등하게 됐다.”고 전한다. 주청 공사관이 본국에 보낸 보고에 따르면, 공사관은 압록강, 두만강 일대에서 벌어지는 양국의 국경 분쟁 관련 정보를 수집, 보고하는 한편, 일본군에 의해 톈진 공관이 훼손된 일에 대해서는 일본 측과 배상 합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자주독립 국가로서 당당히 외교권을 행사한 것이다. 하지만 대한제국의 주청공사관은 2년 8개월 동안 업무를 수행하고는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일제가 대한제국 외교권을 박탈하면서 강제 폐쇄됐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제국주의 시대라는 비극적 상황 속에서 대한국·대청국 간의 동등한 외교 관계의 상징으로 움텄으나 일제에 의해 역사 속으로 잊힌 주청공사관을 배경으로 한 그림동화 《주청공사관 일기》는 2022년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아 망국의 위기에도 주권을 지키고자 고군분투했던 ‘주청공사관 일기’의 일부 내용에 작가의 상상력으로 격변의 시대를 살아간 한 여성을 주인공으로 만든 내용을 덧붙여 한국과 중국의 민중들이 좋은 이웃이 되어 살아갈 수 있는 희망을 그려 내었다. 동화의 말미에는 규장각에 소장된 ‘주청공사관 일기’ 원본의 일부를 현대 한국어로 옮겨 실었고 1902년 작성된 대한국·대청국통상국서 및 박제순 신임장을 사진으로 보태어 잊힌 우리의 역사를 기억함은 물론 사료적 가치를 더했다.

코로나의 확산으로 중국과 한국 모두 재택이 일상화된 2020년, 학교에 가지 못하는 한국인 중학생 정우는 같은 상황에 있는 중국 친구인 홍런과 채팅을 통해 친해진다. 정우는 현조할머니가 북경에서 찍은 사진을 홍런과 공유하며 사진이 찍힌 당시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다가 현조할머니가 주청공사관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주청공사관 직원들이 북경 공관에 가는 길에 당시에 유행하던 콜레라 때문에 배 위에서 오랜 시간 격리되었다는 사실과 사진 속 여인인 작약이 조선 시대 간호사로 일했다는 사실도 알아낸다.

작약은 1902년 호열자 재유행으로 한성에서 환자가 유행하자 광제원이 광희문 밖에 만든 피병원(격리 병원)에서 일을 하며 생활하게 되는데, 그곳에서 호열자에 걸려 사경을 헤매던 3등 참서관의 아내를 간호하여 살려 내 인연을 맺는다. 작약은 이를 계기로 그에게 청하여 전쟁과 기근으로 청나라로 떠난 부모를 찾기 위해 남장 여자의 신분으로 공사관의 일꾼이 되어 주청공사관 일행으로 길을 떠난다.

그런데 작약과 주청공사관 직원들이 탄 배에 콜레라 환자가 발생하여 배 위에서 격리된다. 작약은 3등 참서관의 아내를 살려 낸 경험을 통해 조청과 소금을 물에 섞어 환자에게 먹이면 탈수를 막아 죽음을 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낸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요리를 위해 조선에서부터 가져간 두 가마니의 소금은 있었으나 조청은 작은 단지 세 개에 불과했다. 청나라 설탕 상인 홍런은 기꺼이 자신의 설탕을 모두 내놓아 환자들을 살리는 데 사용하도록 했고 작약은 경구수용액을 만들어 콜레라에 감염된 배 안의 환자들을 모두 구하고 다 같이 배에서 내린다.

배에서 내린 주청공사관 일행은 1902년 10월 말이 되어서야 북경의 공사관 건물에 도착하였는데, 건물이 비어 있지 않아 작고 허름한 건물에서 공사관이 비기를 기다린다. 설탕 장수 홍런은 청국 상인들을 통해 조선인 유랑민들이 연태(Yantai)에 모여 있음을 알게 되고 이 중에 작약의 부모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작약은 공사관 직원들의 배려로 부모를 찾아 나서게 된다. 홍런은 작약과 함께 연태로 향하게 되고 그곳에서 마침내 부모를 찾는다. 부모와 만난 작약은 주청공사관에서 알려 준 대로 연태 대리영사를 찾아가고, 연태 주청공사관에 전보를 보내 한국 유랑민 70여 명을 조선으로 데려가려 한다고 전한다. 주청공사관은 한성에 전보를 보내 고종의 프랑스어 교사인 마르텔에게 천진은행에 이들의 경비를 보내 달라고 요청한다.

그리고 1903년 3월 23일 유랑민 본국 귀국 비용 500위안, 전보비 24위안을 지급해 달라는 주청공사관의 전보가 나간다. 같은 날 청나라 외교부에서 콜레라 때문에 미뤄진 고종 황제 즉위 40주년 경축 의례 사신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고 연락이 온다. 1903년 7월 조선을 떠난 지 1년여 만에 작약은 부모와 함께 연태에서 조선으로 돌아가는 배에 올라타고 설탕 상인 홍런과 그의 아버지는 설탕을 가득 싣고 이들을 따라 조선으로 향한다.

정우는 현조할머니가 행복한 삶을 사셨기를 바라고 정우의 상상 속에서 현조할머니는 공사관 연회에 참석하여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최승우 기자 kantmania@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