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6:45 (토)
한국어 표현 교육론
한국어 표현 교육론
  • 김재호
  • 승인 2022.01.21 13: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현화 외 6인 지음 | 336쪽 | 한국문화사

많은 이들이 기다려 온 한국어 표현 교육론 드디어 출간!

언어 학습의 궁극적 목표가 상대와의 효율적 의사소통에 있다고 볼 때 이러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언어 기술을 익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언어 교육에서 의사소통의 네 가지 요소를 중요시하는 이유는 이들이 소통을 위한 절대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듣기와 읽기’라는 이해 과정을 통해 상대의 생각과 문화를 이해하며, ‘말하기와 쓰기’라는 표현 과정을 통해 생각이나 가치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대면 상황에서는 말하기와 듣기를 통해 구어로 소통하며, 비대면 상황이나 시차가 있는 환경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통해 문어로 상대와 소통하게 된다는 점에서 사실 이러한 네 가지 요소는 분화적이면서도 상호연계적이다. 이런 이유로 네 가지 기능은 각각을 따로 다룰 수도 있고, 표현과 이해로 구분하거나 구어와 문어 영역으로 구분하여 다룰 수도 있다.

본서는 표현과 이해로 구분하여 표현 영역을 다루되, 말하기와 쓰기를 구분하여 기술하고자 하였다. 말하기와 쓰기는 표현 기술이라는 공통성을 가지는 동시에 구어의 표현과 문어의 표현이라는 차별적 요소도 가지므로, 전체적인 기술의 틀은 표현 기능에 초점을 두어 통일적으로 기술하면서도 각각의 특성을 따로 드러내어 보이고자 한 것이다.

상호 작용의 성공은 대면하고 있는 화자와 청자(혹은 필자와 독자)가 상대방에게 적절하게 반응하면서 상대와의 관계를 유지하거나 자신이 의도하는 생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효율성은 흔히 관례적인 언어 형식과 상호교섭적 기술로 얻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문법, 음운, 어휘의 체계적 기반에서 나오는 점진적인 표현 능력을 개발하는 것과 언어 접촉의 환경에서 실제로 소통할 수 있는 전략적 기술적 능력의 발달 모두 필수적 요소이다. 이에 본서에서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언어적 지식과 더불어 해당 언어 기술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담고자 하였다.

먼저 1장은 말하기와 쓰기를 포괄하는 표현 영역의 전반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한 표현 교육의 관점, 의사소통 능력과 표현 능력, 표현 교육의 필요성, 표현 교육의 범위와 내용을 다루었다. 그리고 입말과 글말의 특성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표현 교육에서 이를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전반부인 2장~7장에서는 말하기 영역을 다루었다. 2장에서는 말하기의 개념과 말하기 교육의 목표, 말하기 교육의 흐름, 그리고 말하기 교육의 원리에 관해 다루었다. 3장에서는 말하기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단계별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말하기 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말하기 교육의 방법과 실제에 관하여 다루었다. 말하기 수업 모형과 말하기 활동의 여러 유형, 실제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 말하기 수업을 어떻게 진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에서는 말하기 오류의 유형과 말하기 오류 수정의 절차와 오류 수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 그리고 피드백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6장에서는 말하기와 의사소통 전략에 관하여 다루었다. 의사소통 전략의 정의와 세부 유형, 의사소통 전략 훈련의 실제를 사례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7장에서는 말하기 평가의 목표와 내용, 말하기 평가의 유형, 말하기 평가 문항 유형, 말하기 채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후반부인 8장~13에서는 쓰기 영역을 다루었다. 8장에서는 쓰기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알아보고, 그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쓰기 교육의 흐름, 숙달도나 학습 목적 및 대상별 쓰기 교육의 목표, 쓰기 교육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9장에서는 쓰기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숙달도별 쓰기 교육의 내용과 윤리적 글쓰기에 교육 내용도 함께 다루었다. 10장에서는 쓰기 교육의 방법과 실제에 대해서 다루었다. 쓰기 교육 이론과 쓰기 모형, 쓰기 활동의 유형, 쓰기 수업의 실제 구성 사례를 제시하였다. 11장에서는 쓰기 오류 특성과 유형, 쓰기 오류 수정과 피드백, 쓰기 피드백의 유형과 실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12장에서는 쓰기 전략의 유형과 쓰기 전략 훈련의 효과, 쓰기 전략 훈련 활동을 구체적인 실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13장에서는 쓰기 평가의 목표와 내용, 쓰기 평가의 유형, 그리고 쓰기 채점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서는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교수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내용을 담아 대학과 대학원에서 해당 분야에 기초 지식을 배양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아울러 각 단원에 최신 이론에서 쟁점이 될 만한 요소들도 포함하여, 언어 교육의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을 살필 수 있도록 하였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