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23:45 (토)
지역·특성화·신기술, 대학의 생존법
지역·특성화·신기술, 대학의 생존법
  • 강일구
  • 승인 2022.01.03 0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새해 주요 교육정책

지역 혁신과 신산업 육성을 위한 대학 특성화 전략은 2022년 주요 교육정책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지역 소멸’에 맞서 대학의 지역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역혁신 플랫폼’을 확대하고 평생직업교육 거점 조성에 나선다.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고졸인재 지원을 위한 직업교육 혁신지구도 확대된다. 현재 광주·전남, 울산·경남, 대전·세종·충남, 충북 등 4개 지역혁신 플랫폼은 6개로 확대한다. 교육부는 복수형에 480억 원, 단일형에 3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후진학 선도 전문대학’사업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으로 확대·개편한다. 전문대와 기초지자체 간 연계를 토대로 평생직업교육 거점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30개 대학을 선정해 13억5천만 원씩 총 405억원을 지원한다. 

신산업 신기술 인재양성을 위해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도 새롭게 시작한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진행되는 사업이다. 올해는 134개 대학(전문대 포함)을 선정해 4천70억 원을 지원한다. 대학별 여건과 특성을 바탕으로 사업 추진 전략에 부합하는 자율적인 산학협력 모델을 수립해 추진할 계획이다. 

8개 신기술 분야별(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실감미디어, 지능형로봇, 에너지신산업) 대학 간 연합체 지원에도 890억 원을 지원한다. 대학 간 협력을 통해 희망학생이 전공 관계 없이 수강할 수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공동 개발해 운영한다. 

특히 ‘범부처 혁신인재양성사업’을 신설해 신산업 분야의 인재를 집중 양성한다. 올해 420억 원을 투자한다. 이 사업에는 교육부를 비롯해 산업부와 과기부, 복지부, 환경부, 국토부, 특허청 등이 참여한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중점 추진과제로 기술패권 시대의 ‘국가필수전략기술 육성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 공급망 안정화와 병행해 양자, 우주 등 신흥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필수전략기술특별법’(가칭) 제정에 나선다. 이와 함께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를 위해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기획·관리하는 전담조직 도입도 올해 하반기에 추진할 계획이다. 국가안보 등을 위해 고난이도의 도전적 연구를 수행하는 조직인 미국의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강일구 기자 onenin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