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7:45 (목)
니는 내맹쿠로 살지 마래이
니는 내맹쿠로 살지 마래이
  • 이지원
  • 승인 2021.12.10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종렬 지음 | 피엔에이월드(PNA World) | 408쪽

온 사회가 지금 같은 ‘정상가족’으로는 살 수 없다고 

아우성치는데, 정작 그 ‘문제의 집’을 해부하는

사회학자의 글은 왜 세상에 나올 수 없는가?

 

“여성 3代의 연결고리를 끊으려면 殺母가 필요하다”

계약한 출판사에 원고를 보냈다. 웬걸, 출판을 꺼렸다. 페미니즘과 다른 목소리라 요즘 출판계 흐름과 어긋난다고. 부담 주기 싫어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출판사에 원고를 넘겼다. 그곳도 마찬가지. 이후 접촉한 출판사의 반응이 한결같았다. 한 여성 출판인은 “시대에 뒤처진 상투적인 여성 인물에 화가 치밀고 가모장 탓하는 남성의 이기심에 역겨움마저 든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고통스러워도 여성 삼대(할머니-엄마-딸)의 시스템 복제를 정면으로 마주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소용없었다.

나는 여러 해 전부터 지역여성의 삶을 사회학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시작은 지역청년의 삶이다. 특유의 ‘성찰적 겸연쩍음’과 ‘적당주의 집단 스타일’을 발견했다. 패배할까 두려워 집 밖에 나가 경쟁에 뛰어들지 않지만, 시도조차 하지 않는 자신이 겸연쩍기는 하다. 

이런 집단성향을 심어준 부모가 궁금해 다시 연구에 뛰어들었다. 부모 세대 특유의 ‘보수주의적 가족주의’와 마주쳤다. 가부장 폭력에 기죽어 끽 소리 한번 못하고 이미 태곳적부터 정해진 듯한 남자의 길과 여자의 길을 아무 의심 없이 걸어왔다. 그 길이 죽을 만큼 고통스러웠지만 그렇게 살아보니 이제 ‘성찰적 자신감’과 ‘성실주의 집단 스타일’을 갖게 되었다. 자녀도 무탈하게 잘 크고 여태 남에게 손 안 벌리고 살았기에 나름 자신감이 넘친다. 집 밖 세상과 담쌓고 성실하게 몸을 낮추어 말없이 살아가니 가족 모두 행복하다. 

새로운 의문이 솟구쳤다. ‘어떻게 하다 세상 밖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고 내 가족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삶을 살게 되었을까?’ 할머니의 삶부터 캐보았다. 이야기를 듣는데 미숫가루 얹힌 듯 가슴이 답답하고 미어졌다. 논문을 쓰려다 소설로 방향을 틀었다. 인터뷰 자료더미를 초집중해서 파헤치자 괴물 같은 ‘가족 콤플렉스’가 그 형체를 드러냈다.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면서도 이를 상징적으로 정당화할 능력이 없는 아버지! 상징적 아버지의 부재는 한국 현대문학에 수도 없이 반복해서 형상화된 주제였다. 이러한 형상화 뒤에는 숨은 그림자처럼 항상 집을 지키고 있는 숭고한 엄마가 있다. 이 엄마 덕분에 그나마 집이 풍비박산 나지 않고 유지되었다. 대가는 너무 처참하다. “나처럼 살지 마.” 엄마가 딸에게 거듭 당부하지만, 딸이 다시 그 숭고한 길로 걸어 들어가면서 할머니-엄마-딸의 ‘시스템 복제’가 반복되고 있다. 그래서 여성 삼대의 연결고리를 끊으려면 살모(殺母)가 필요하다고 이 소설은 말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