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00 (금)
“미래 교육정책 핵심은 디지털과 융복합 인재 양성”
“미래 교육정책 핵심은 디지털과 융복합 인재 양성”
  • 강일구
  • 승인 2021.09.30 1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1 한-OECD 국제세미나…박광국‧하연섭 교수 발표
“대학이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게 규제 완화 필요”
사진=교육부
왼쪽부터 박광국 가톨릭대 교수(행정학과), 하연섭 연세대 교수(행정학과), 좌장을 맡은 김성열 경남대 교수(교육학과)이다.  사진=교육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에 의한 비대면의 일상화는 변화를 상상하는 것을 넘어 이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9일 ‘코로나 극복을 위한 교육 대응과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을 주제로 열린 한-OECD 국제 세미나에서 박광국 가톨릭대 교수(행정학과)와 하연섭 연세대 교수(행정학과)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 수립 방향’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미래 교육정책에 대한 박 교수의 비전은 디지털이다. 박 교수는 “이제 우리 사회는 디지털 자본주의, 디지털 경제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며 “디지털을 모르는 사람이 사회로 나오게 되면 적응조차 못 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이에 발맞춰 대학 또한 디지털 교육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그는 역설했다. 박 교수는 미래 교육정책의 방향에 대해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핵심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하 교수가 역점을 둔 것은 4차 산업혁명에 맞춘 범부처의 인재 양성 방향이다. 박 교수는 2028년까지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2만5천 명, 드론 영역에서는 4천5백 명, 인텔리전트 로봇 분야에서는 2만 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하 교수는 단순히 산업정책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정책으로서의 인력 양성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평생교육 학습사회로 가야 한다면서, 산업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재교육과 리스킬링(Reskilling), 업스킬링(Upskilling)이 중요 정책과제가 됐다고 했다.

업스킬링은 똑같은 일을 더 잘할 수 있도록 돕거나 더 복잡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숙련을 의미하고, 리스킬링은 다른 직무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규제가 덫이 돼 대학의 인재 양성 제한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미래 고등교육 정책에서 두 교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박 교수는 미래 교육을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으로 신성장 산업 인력과 융합 인재 양성을 구분하고, 인문학과 자연과학 융합을 통해 학생들이 새로운 것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하 교수는 전통적인 학과 위주의 교육에서 융복합의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했다.

대학과 교수 역할의 변화에 대해서도 하 교수는 “교육은 가르치는 교수 중심이 아닌 학습자 중심으로 돼 가고 있다”며 “커리큘럼을 디자인하고 학생을 코칭‧상담하는 교수 역할의 정착이 신속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평생 학습사회로 가고 있기 때문에 대학과 평생교육이 칸막이를 치는 게 아닌, 문호를 여는 작업이 필요하고 업스킬링과 리스킬링을 위한 지원도 대폭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재 양성을 위한 규제개혁 완화에도 두 교수는 함께 목소리를 냈다. 박 교수는 “현재 대학에서는 디지털 인재를 양성할 교수가 없다”며 “교육부의 대학교수 월급 규제가 유능한 교수를 대학에 머무르게 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또한,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가 많은 인재를 길러내야 하는데, 수도권 규제 때문에 막혀있다”며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특성화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차기 정부에서는 지방마다 특성화 교육을 할 수 있게 모든 권한을 지방정부에 넘겨야 한다”는 제안도 했다.

하 교수는 교육시스템이 변화하는 직업 세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기회가 만들어져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도 지적했다. 산업 수요에 정부가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처간 조정과 협업이 빠르게 진행돼야 수급 불균형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대학에서의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입시정책 예고 기간까지 합쳐 실질적으로 7년이 걸린다”며 “전략 분야에 있어서는 대학원과 학부에 패스트트랙이 필요하다”고 했다.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의 중요성도 그는 강조했다. “규제에 묶여 정원을 채운 대학원은 첨단 산업 분야에서 인력을 제대로 못 늘린다”며 “전략 사업에 대해서는 한시적으로 정원 제한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는 ‘코로나19의 영향과 교육 회복을 위한 교훈’이란 주제로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의 기조 강연이 있었다. 슐라이허 국장은 교육 인프라의 질에 따른 코로나19와 교육 연속성의 관계, AI같은 기술을 가져올 수업 환경의 질적 변화에 대해 설명했다. 

강일구 기자 onenin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