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7 08:45 (수)
일반대학원 ‘신입생 미달’도 심각하다
일반대학원 ‘신입생 미달’도 심각하다
  • 강일구
  • 승인 2021.09.27 08: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주요대·거점국립대도 정원미달
“대학원생 자원 확대·부당 대우 개선해야”
※출처: 대학알리미. 조경동 용인대 전 대학원장 분석. 정원 내 입학기준
※출처: 대학알리미. 조경동 용인대 전 대학원장 분석. 정원 내 입학기준

서울 지역 주요 대학 일반대학원에서도 신입생 미달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신입생 충원율이 80%밖에 되지 않던 대학이 2015년 4개였으나, 2019년 20개로 늘어났다. 2021년엔 14개로 다시 줄어들었다. 정원을 100% 채운 일반대학원은 2015년에는 11개였으나 2019년에는 3개로 감소했고, 2021년에는 9개로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19에 의한 반등 효과가 있음에도, 2021년 서울지역 일반대학원 41개 가운데 32개가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특히, 서강대(57.4%), 숙명여대(79.9%), 이화여대(84.7%), 서울대(89.8%), 경희대(89.8%) 일반대학원은 정원의 10% 이상을 채우지 못했다.

지방 거점 국립대 일반대학원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다. 2015년에 지방 거점 국립대 일반대학원 중 신입생 충원율이 80% 미만인 곳은 없었다. 하지만 2019년에는 전남대(67.4%), 부산대(75.4%), 전북대(77.8%), 경북대(78.1%) 가 신입생 충원율 80%를 채우지 못했고, 2021년에는 부산대(79.2%) 1곳이 충원율 80%를 채우지 못했다. 신입생 정원을 100% 채운 일반대학원의 경우 2015년에는 충북대(101.7%) 1곳이었으나, 2019년에는 100%를 채운 국립대가 없었고, 2021년에는 제주대(107.5%)와 충북대(109.3%)만이 정원을 채웠다.

수도권 대학원과 비수도권 일반대학원 신입생 충원율 차이는 2015년에는 각각 90.9%와 87.6%였고, 2019년에는 82.3%와 77.5%, 2021년에는 91.3%와 85.6%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일반대학원의 신입생 충원율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출처: 대학알리미. 조경동 용인대 전 대학원장 분석. 정원 내 입학기준
※출처: 대학알리미. 조경동 용인대 전 대학원장 분석. 정원 내 입학기준
※출처: 대학알리미. 조경동 용인대 전 대학원장 분석. 정원 내 입학기준
※출처: 대학알리미. 조경동 용인대 전 대학원장 분석. 정원 내 입학기준

외국인·공무원·군인 등 ‘정원 외’로 채워

대학원 입학정원을 정원내 모집으로 채우지 못한 대학원들은 부족한 입학자 수를 외국인과 공무원·군인 위탁생 등 정원외 모집으로 채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전체 입학자 6만9천680명 가운데 정원외 입학자 수는 1만2천936명으로 18.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1년 일반대학원 가운데 정원외 입학생 비율이 전체 학생의 40%가 넘는 대학원은 23곳이었고, 대부분 중소규모이거나 지방소재 대학원이었다. 일반대학원 내 외국인 유학생 증가는 국제화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지만, 학습 능력이 부족한 유학생의 무분별한 유치는 교육의 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사안이기도 하다. 조경동 용인대 명예교수는 유학생에 의해 저해된 연구 분위기는, 국내 인재의 국내 대학원 기피와 해외 유출을 더욱 자극할 수 있고, 국내 학위에 대한 신뢰성마저 상실시켜 고등교육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조 교수는 변화된 환경에 맞는 종합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고학력자를 필요로 하는 새로운 수요처 개발부터 이미 한계 상황에 처한 대학원에 대한 구조조정 또한 필요하다고 했다. 대학원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범정부적 종합 정책과 대학 차원의 준비도 필요하다 제안했다.

익명을 요구한 대학원생 노조 조합원 A씨는 “예전에는 대학원에만 진학하면 교수가 될 수 있는 꿈을 모두 꿨지만, 현재는 전임교원이 되는 것도 강사가 되는 것도 힘들다”며, 고등교육교부금법(가칭) 제정을 통해서 대학원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국내에서 대학원생이 됐을 때 미래와 현재 모두 불투명하면 학생들은 대학원 진학을 망설일 수밖에 없다. 조 교수 또한 대학원생에 대한 과감한 지원을 통해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고 부당 대우, 교수 갑질 등 인권 침해 문제에 대한 개선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했다.

강일구 기자 onenin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