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8:20 (금)
어린 왕자
어린 왕자
  • 교수신문
  • 승인 2021.04.30 09: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지음 | 고종석 옮김 | 삼인 | 176쪽

지금까지 한국어판 『어린 왕자』는 이본異本만 1백수십 종에 달한다고 한다. 여기에는 김현, 김화영, 황현산 등 프랑스문학을 전공한 불세출의 문학평론가들이 옮긴 판본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런 조건에서 『어린 왕자』 번역본을 굳이 한 권 더 보탤 필요가 있었을까. 그것은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까. 의식의 주파수와도 같은 ‘언어’를 매개로 프랑스적 감수성이 이미 깊이 내면화된 고종석에게 기존 번역본은 어떤 갈증과 결핍을 안겨주었던 것 같다. 그는 이 책에 쓴 「역자 서문」과 「역자 후기」를 통해 자신이 번역한 『어린 왕자』에 대한 자부심의 일단을 다음과 같이 피력한다.

“삼가는 마음이 없지는 않으나, 지금 독자가 읽을 이 텍스트를 『어린 왕자』의 한국어 결정판이라 여긴다. 이 텍스트는 한국어라는 옷을 입은 프랑스어다. 프랑스어에 완전히 밀착한 한국어! 그러나 그것이 한국어에 대한, 그리고 프랑스어에 대한 내 자부심이다.”

역자가 밝힌 자부심은 곧 기존 번역본들과 차별화한 내용들이 담보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첫째 고종석 번역본은 프랑스 갈리마르판 원서 『Petit Prince』의 편집 체제를 가장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판에도 그대로 적용했다. 예컨대 한국문학 출판사들이 모종의 합의에 의해 관행적으로 써온 구두점과 문장부호 등을 파기하고 원서가 채택한 문장부호, 이를테면 독백이나 의식의 흐름을 표현하는 ≪≫나 대화를 표시하는 대시- 같은, 한국의 문학출판에선 생소한 부호를 그대로 살린 것이다. 이와 같은 형식의 존중 속에서 프랑스 서사문학들이 전통처럼 계승해온 이야기 방식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거기서 발생하는 미세한 내용의 차이까지 담으려 했다. 다음의 예시를 보자.

1. 「그것은 모두들 너무나 잊고 있는 것이지.」 여우가 말했다. 「그건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 황현산 번역 『어린 왕자』

2. “그건 사람들이 너무나 잊고 있는 건데…… 그건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여우가 말했다. - 김화영 번역 『어린 왕자』

황현산과 김화영 번역은 대화와 지문을 의식적인 문장부호의 사용을 통해 시각적으로 형태론적으로 분리시켰다. 다시 말해 대화문을 「」와 “” 속에 가두어놓는 전통적인 한국문학 표기 방식을 택한 것이다. 그런데 고종석은 두 사람의 번역을 하자가 없는 좋은 번역이라고 평가하면서도 같은 부분을 이렇게 의도적으로 표기했다.

-다들 너무 잊고 있는 거지, 여우가 말했다. 그건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고종석 번역본 『어린 왕자』

대화와 지문을 한 센텐스sentence 안에서 분리하지 않고 원서가 채택한 프랑스 문학의 말하기 방식 표기를 존중한 것이다. (고종석 번역본은 다만 색깔을 통해 대화와 지문을 구분해 독자의 혼선을 막고자 했다.) 이런 표기에 대해 고종석은 이렇게 설명한다.

“언뜻 작아 보이는 이 차이는 단순히 구두점이나 단어 배치의 차이가 아니라, 이야기 방식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비슷한 예가 『어린 왕자』에는 무수히 있다. 사실, 연결되는 대화와 대화 사이에 이렇게 지문을 끼워 넣는 것은 서양 서사 예술 작품들의 한 특징이기도 하다. 나는 독자들에게 ‘한국어로써’ 프랑스어의 흐름을 보여주고 싶었다. 이 책은 아마도 프랑스어 구조에 가깝게 대화와 지문을 배치한 첫 번째 한국어 번역일 것이다.”

고종석 번역본이 시도한 두 번째 차별화는 유럽어에서는 또렷하지만 한국어에선 그렇지 않은 명사의 복수 표지 “-들”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다. 한국어는 복수가 뚜렷한 명사에는 복수 표지를 별도로 하지 않는다. 예컨대, “식당이 많다”고 쓰지 “식당들이 많다”고 쓰지 않는 것처럼, 혹은 “흔한 진주목걸이”가 “흔한 진주목걸이들”보다 자연스러운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프랑스어에서는 다른 유럽어와 마찬가지로 명사의 복수 표지를 분명히 표현한다. 이 책은 그 언어 관행을 존중했다. 따라서 본문 속에는 “오억 개의 별들”이나 “모든 날들”, “바다들과 강들과 도시들과 산들과 사막들” 같은 표현도 보일 것이다. 이 역시 프랑스어가 가진 특유의 감각을 독자들이 그대로 촉지할 수 있게끔 옮긴이가 의도한 결과이다.

세 번째 차별화는 경어(vouvoyer)와 평어(tutoyer)의 구분을 원문 그대로 따른 것이다. 이에 대한 역자의 설명을 직접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번역들은 이 차이에 무심한 경우가 많았다. 프랑스어에서의 경어와 평어는, 물론 위계질서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친소 관계를 드러낼 때가 많다. 어린 왕자는 때로 처음 보는 사람에게 평어를 쓰기도 하고, 때로는 경어를 쓰다가 평어로 바꾸기도 한다. 독자들은 어린 왕자의 말투에서, 그 아이와 대화 상대의 관계를, 그러니까 위계나 친소 관계를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경어와 평어의 엄격한 분리에 있다.”

마지막으로 짚을 수 있는 차별화는 작품 속 내레이터가 어린 왕자를 지칭할 때 다른 번역본들은 모두 ‘그’라는 일률적인 대명사로 옮긴 반면 이 책에선 ‘그 아이’나 ‘이 아이’로 옮긴 것이다. 이는 『어린 왕자』라는 작품에서 어린 왕자라는 캐릭터가 수행하는 아이덴티티가 어린이의 세계를 대리하고 있다는 역자의 엄격한 해석에 의한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