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0:30 (금)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 합격생 51.4%가 수도권 출신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 합격생 51.4%가 수도권 출신
  • 하혜린
  • 승인 2021.03.15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의 풍부한 생기부, 사교육 기회 등이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돼
“지역과 무관하게 교육의 기회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사진=연합
사진=연합

2021학년도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절반 수 이상이 수도권 고교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는 지역 인재를 고르게 뽑기 위해 전국 고교 학교장에게 최대 2명의 학생을 추천받아 학교생활기록부와 면접 등으로 평가, 수능 최저학력 기준 이상을 받은 학생들을 선발하는 지역균형선발전형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병욱 의원이 지난 12일 서울대로부터 받은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 입학생 고교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51.4%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고교 출신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균형선발전형 제도가 당초 취지와는 다른 방향으로 학생들을 선발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수도권을 제외한 타 지역의 경우 PK(부산·울산·경남) 13.2%, 충청(대전·세종·충북·충남) 11.3%, 호남(광주·전북·전남) 10.3%, TK(대구·경북) 9.7%, 제주 2.2%, 강원 1.8%에 불과했다.

지역 고교 수 대비, 서울대 지역균형 배출학교 수를 나타내는 '입학생 배출 고교 비율' 역시 서울, 경기, 인천의 비율이 각각 34.7%, 30%, 29.6%로 전국 평균인 24.6%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위치한 학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생활기록부를 풍부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점’과 ‘자기소개서와 면접에 있어 사교육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점’이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지역별 합격 비율을 제한하는 방법 등을 통해 지역균형선발 제도를 당초 취지에 맞게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코로나로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부모의 경제력이 학생들의 학력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와 같은 학력 격차가 사회적 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심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부모의 소득이나 살고 있는 지역에 상관없이 고르게 교육의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 

하혜린 기자 hhr210@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