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0:25 (금)
황제 국가로서 근대 국가체제를 마련한 ‘제국'의 출범
황제 국가로서 근대 국가체제를 마련한 ‘제국'의 출범
  • 교수신문
  • 승인 2021.01.22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종과 대한제국 황제 중심의 근대 국가체제 형성 | 조재곤 지음 | 역사공간 | 520쪽

황제 국가로서 근대 국가체제를 마련한 ‘제국'의 출범과
대한제국 초대 황제로서 고종이 이끈 국정 운영의 명과 암

대한제국 시기는 1863년부터 1907년까지 무려 44년여 통치 기간 동안 조선 26대 국왕이자 새로운 대군주, 황제로서 고종이 군주권을 확보하고 국정을 자신의 의지대로 주도한 유일한 기간이었다. 이 책은 대한제국의 황제 권력 형성과 운영에 관한 필자의 그간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서술한 글을 재정리하고 보완하여 새롭게 구성한 것이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시기부터 1904~1905년 러일전쟁 전후 기간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대한제국의 내치 기반, 법률적 기반, 물리적 기반, 그리고 제국의 인프라와 물적 토대 등이 어떠했는지 알아보고 대한제국 당시의 정치사회 구조 전체상과 성격, 제한성 등을 정치하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제1장에서는 대한제국이 ‘왕국(Kingdom)’에서 탈피하여 ‘제국(Empire)’으로 가는 과정과 황제국의 길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왕국인 조선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변하는 과정에서의 정치적 이해관계, 그리고 3일간의 즉위 의례를 거쳐 탄생한 새로운 제국의 시작과 이에 대한 국내외 시선은 어떠했는지 다루었다. 

제2장은 황제국의 이름에 걸맞은 내치기반 확보를 위한 다양한 준비 과정을 담았다. 대한제국은 여러 가지 국가 상징 장치를 마련하고 친위세력을 동원하고 근데적 의전제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새로운 황제국 격식에 따른 각종 형태의 제사 거행하거나 황제의 5대조를 추존하고, 일명 5대 경축일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반을 통해 지배의 정당화를 구축하고 황제의 위상을 국내외적으로 과시하고자 한 고종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제3장은 대한제국 국가권력의 법률적 토대 즉, 헌법으로서 지위를 갖는 「대한국국제」의 작성 과정과 그 근원 및 내용을 각국 군주제 헌법과의 비교하였다. 「대한국국제」의 9개 조항 작성에 이들 각국 헌법이 직간접적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법률을 각 조항별로 비교 분석하여 그 유사성과 차별성을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대한제국의 물리적 기반으로 원수부와 중앙·지방군 등과 관련한 군사정책과 군사기구의 운영 문제를 알아보았다. 당시 군과 관련한 정책과 운영이 정치적 역학관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행해나가고 있었는가를 살핌으로써 대한제국 정부의 정치적 지향과 역사적 성격을 밝혀 보았다.

제5장은 대한제국의 물적 토대 즉, 경제문제로 동 시기 중국의 양무운동, 일본의 식산흥업정책과 유사한 형태로 전개되던 대한제국 정부와 민간의 근대 산업육성정책과 상공업 기구의 설치와 역할 등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