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22:10 (금)
“박사학위자들 넘치지만 경력 경로 파악 어려워”
“박사학위자들 넘치지만 경력 경로 파악 어려워”
  • 김재호
  • 승인 2020.11.09 08: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5회 여성과학기술정책포럼

박사 인력의 수급 불일치 발생
구체적 통계 부족해 
지원 정책 효과 분석 어려워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초기 경력과 특성’을 발표했다. 우선 박사후연구원과 비정규 연구직 간 구분이 점차 모호해졌다. 2000년대 이후 대부분 국가에서 박사 인력의 수급 불일치가 발생했다. 우리나라는 박사 증가율은 최고 수준이지만, 규모조차 파악이 어려워 지원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기가 힘들다.  

 

 


박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매년 8천 명 이사의 박사가 배출되지만 이 인력들의 경력 경로는 파악이 어렵다. 이 때문에 2017년 8월과 2018년 2월 졸업자 중 1천 명을 표본 추출해서 조사했다. 그 결과 공학과 자연계열의 대기업 취업 비중이 높았다. 박사후연구원의 80.5%, 83.3%는 이공계였다. 특히 박사후연구원의 90% 이상은 학업전념자였다. 박사후연구원의 약 30%는 타 분야로 진출했다. 


신규 박사 중 국내 박사후연구원 진입은 이공계에서만 약 2천300명이다. 이들 중 약 700명이 1.5∼2년 기간 동안 다른 분야로 진출한다. 2년차 이상은 약 1천600명이 다른 분야로 진출한다. 학위 취득 직후 박사후연구원이 아닌 취업 비중은 여성이 뚜렷하게 낮다. 

 

경력 경로 파악이 어려운 박사들

 

박사후연구원의 근로소득과 희망직장은 남녀가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여성의 자연계열 취업 상황이 조금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패널토론에 나선 홍정숙 서울대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 연구교수는 “박사후연수과정의 연구는 산업체 연구소에서 수행하는 제품개발을 위한 연구와는 그 목표와 성질이 다르다”며 “박사후연수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는 자연현상, 과학적 사실을 추구하는 기초 연구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이라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홍 연구교수는 박사후과정 연수자에 대한 보수와 복지, 다채널의 연구비 지원 정책 등을 제안했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