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8 16:20 (목)
일본의 군사적 침략과 한국주차군
일본의 군사적 침략과 한국주차군
  • 이혜인
  • 승인 2020.06.19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항 이후부터 제국주의 일본의 한국병탄 이전까지 일본군의 침략 실태를 규명할 수 있는 사료를 번역, 수록하다
조건 편역 | 역사공간 출판 | 324쪽

근대 격변기 열강의 각축 사이에서 한국의 자주적 변혁은 제약되었고, 국권은 강탈되었다. 근대 한국의 국권상실 과정은 감성적 민족주의 차원을 넘어 냉철하게 직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실증적 고찰이 이뤄져야 한다. 약육강식이 엄존하던 격변기의 현실과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을 성찰하는 것은 침핍(侵逼)으로 얼룩진 수난의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자, 동북아 평화를 위한 역사 정립의 길이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운요호사건 이래 한국강점의 선봉에 섰던 일본군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공사관수비대에서 시작해 한국주차대·한국주차군·조선주차군·조선군·제17방면군 등으로 변모한 일본군은 의병탄압 및 독립운동 억압에 앞장섰으며, 강점 이후에는 식민지 민중의 삶을 통제하고 군사적으로 지배하는 주역이었다. 나아가 간도침략, 만주사변, 중일전쟁으로 이어지는 시기에는 일본의 대륙침략의 선봉에서 활동한 주체였다. 요컨대 일제의 한국강점과 식민지배, 대륙침략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한반도 주둔 일본군에 대한 이해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렇듯 <한반도주둔일본군 사료총서>는 군사지배에 기반을 둔 일본제국주의의 전면(全面)을 드러내기 위해 일본군의 역할과 실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 책은 그 첫 번째 권으로, 개항 이후부터 제국주의 일본의 한국병탄 이전까지 일본군의 군사적 침략 실태를 규명할 수 있는 사료들을 번역하여 수록했다. 특히 러일전쟁 개전 직후에 설치된 ‘한국주차군’의 군사 활동에 관한 사료를 집중적으로 선별했는데, 이를 통해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이 매우 이른 시기부터 조직적으로 자행되었음을 밝히는 데 주안을 두었다.

제1권의 자료는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것을 주요 대상으로 했다. 다만 이들 중에는 일본 국립공문서관이 운영하는 아시아역사자료센터(アシア歷史資料センタ–)에 화상으로 게시되어 있는 것들도 있고, 방위성 방위연구소 사료열람실에 직접 방문하여 열람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방위연구소 사료열람실에서 열람할 수 있는 자료는 수집이 가능한 것과 수집 자체가 불가한 것으로 또다시 나뉘는데, 총서 제1권에는 이 자료들을 골고루 담았다.

주지하듯 한국주차군은 일제 침략군으로 한국 식민지화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다. 한국을 반식민지로 전락시켰던 여러 조약들의 무력적 배경이었으며, 한말 의병에 대한 잔혹한 진압을 통해 한국병탄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한 장본인이었다. 병탄 이후에도 이른바 헌병경찰통치의 주임자(主任者)였을 뿐만 아니라 지속되는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의 주도자(主導者)였다. 사료총서 제1권은 이 중 청일전쟁 때부터 1910년 8월 직전까지, 한국주차군이라는 주요한 일제 침략군의 한반도 침략 과정을 비롯하여 그 조직과 편제, 그리고 군사 활동의 면면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본문은 총 다섯 개 장으로 나누었다. 각 장의 제목은 제1장 「청일전쟁 이후 한국주차대의 편성과 활동」, 제2장 「러일전쟁기 간첩 활동과 군사적 침략」, 제3장 「한국주차군의 편성과 활동」, 제4장 「한국주차군의 군사 활동 보고」, 마지막 제5장은 「한국주차군의 연도별 작전 계획」이다. 다만 전체적인 맥락상 자료들은 다시 크게 두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시기는 청일전쟁부터 러일전쟁까지 일본군의 침략과 주둔에 관한 것으로 제1장과 제2장이 이에 해당한다. 두 번째 시기는 한국주차군의 편성과 군사 활동에 관한 것으로 제3장 이후에 수록된 자료들이 대상이다.


[ 편역자 소개 ]

조건(曺健)
일제강점기 일본군의 식민지 지배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한반도에 주둔했던 일본군의 조선인 통제와 동원을 주제로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지금은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연구위원으로 여러 곳에서 강의와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 감수자 소개 ]

정태헌(鄭泰憲)
경제사를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연구하면서 남북 역사학 교류와 적대적 분단체제 해체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사)남북역사학자협의회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일제의 경제정책과 조선사회』(1996),『 한국의 식민지적 근대 성찰』(2007), 『한반도철도의 정치경제학』(2017),『 평화를 향한 근대주의 해체』(2019) 등이 있다.

황선익(黃善翌)
한국독립운동사, 해외 한인사회사, 일제 식민지 지배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에 재직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독립운동 기념의 역사적 전개와 독립운동 기념관」(2018), 「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2018),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찰기관의 변천과 역사적 과제」(2019), 「일본군의 한성 점령과 군대해산」(2020) 등 다수의 저작을 발표했다.


[ 차례 ]

발간사
일러두기
해제

제1장 청일전쟁 이후 한국주차대의 편성과 활동
사료 01 내각훈령: 출병에 관한 임무의 건(1894. 6)
사료 02 한국주차대 편제 요령(1899. 3) 
사료 03 한국주차대 편제 요령 및 복무규정 제정의 건(1903. 9) 
사료 04 경성주차대 보고(1902. 12~1903. 11) 

제2장 러일전쟁기 간첩 활동과 군사적 침략
사료 05 1903년 12월 한국 출병에 관한 내주서(1903. 12) 
사료 06 계림일지(1904. 5)
사료 07 육군성 군무국 군사과 전역 업무 상보(1906) 
사료 08 러일전쟁기 대한정책 실행의 경위와 북한군 전진난의 정황(1925)

제3장 한국주차군의 편성과 활동
사료 09 한국에 주차대를 배치하는 건(1904)
사료 10 한국주차군사령관에 대한 훈령(1904. 3) 
사료 11 한국주차군사령부 및 예속부대 편성의 건(1904. 3)
사료 12 한국주차군 병영, 관아 등 건축의 건(1906. 3)
사료 13 한국주차군사령부 조례(1906. 7) 
사료 14 한국주차헌병대 인마배치표(1909. 1) 

제4장 한국주차군의 군사 활동 보고
사료 15 제13사단 1907년 8월 한국주차군대 보고의 건(1907. 9)
사료 16 1909년 2월 한국주차군대 보고(1909. 4) 
사료 17 1909년 3월 한국주차군대 보고(1909. 4) 
사료 18 한국주차군 상황보고(1910. 1) 

제5장 한국주차군 연도별 작전 계획
사료 19 한국주차군사령관에게 주는 1907년도 작전 계획 훈령 
사료 20 한국주차군사령관에게 주는 1908년도 작전 계획 훈령 
사료 21 한국주차군사령관에게 주는 1909년도 작전 계획 훈령 
사료 22 한국주차군사령관에게 주는 1910년도 작전 계획 훈령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