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23:10 (목)
[정재형의 씨네로그] 코로나 블루 시대의 사랑
[정재형의 씨네로그] 코로나 블루 시대의 사랑
  • 교수신문
  • 승인 2020.05.25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람이 제일 서러운 게 뭘까. 억울한데 아무도 그 사연 들어주지 않을 때. 들어줄 사람이 아무도 없을 때. 사랑은 그 찬스를 비집고 시작된다. 내 얘길 들어주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내 편이라는 확신이 들면서 사랑은 시작된다. 엄마, 아버지, 형제, 자매들. 피를 나누고 어려서 같이 뒹군 가족은 오래 떨어져 있어도 보고 싶다. 내 편이기 때문에 그렇다. 사랑하는 애인이 생기는 이치도 비슷하다. 나를 이해해주는 내 편이 생기는 개념이다.  

영화 <가장 보통의 연애>(2019)를 보면 파혼당한 남자 재훈(김래원)이 처음 알게 된 직장 동료  선영(공효진)에게 두 시간 동안 울면서 통화를 한다. 그것도 새벽에. 술이 만취하면 필름이 끊어지는 재훈은 다음날 선영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어떻게 두 시간을 들어줄 수 있었냐고 신기한 듯 물었다. 상대가 아무도 내 얘기를 들어주지 않는다며 울면서 말하는데 어떻게 끊을 수 있냐고 선영이 말했다. 연애의 정석 제일조는 남의 얘기 들어주기다. 남의 얘기를 들어주면서, 들어주는 상대를 내 편이라고 호감을 갖게 되면서 사랑은 시작된다. 재훈이 선영을 사랑한 것은 어쩌면 그 일이 준 심리적 효과 때문일 것이다. 내가 술취해 떠드는 얘기도 진지하게 두 시간동안이나 들어주는 그 성의. 그것이 감동을 주고 자신을 안정시켜 준 건지도 모른다. 사랑은 상대의 싫은 모습을 엿보고 모른 척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 시작으로 재훈은 선영을 따라다니면서 구애를 한다. 하지만 한번 여자에게 차인 적이 있는 그로선 노골적으로 좋아한다는 말을 못한다. 선영 역시 마찬가지다. 남자에게 데인 적이 있는 여자로서 그를 경계하고 조심하는 게 당연하다. 술을 먹어야 서로를 터놓지 맨정신에선 아무 말도 하지 못하는 것이 마치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는 냉랭한 요즘과 흡사하다. 필름이 끊어지고 고주망태가 되어야 비로소 제정신 드는 게 사랑이다. 하지만 지금은 거리를 두고 머뭇머뭇 조심하는 연애 시대다.  

언택트 시대가 되면서 사람 간 거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온통 마음에 멍 자국인 우울한 사람들뿐이다. 비단 사랑의 관계뿐이 아니다. 속맘을 털어놓고 얘기하고 싶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하지만 대놓고 털어놓을 사람은 있는지. 속 시원히 털어놓고 싶은데 그럴만한 사람은 있기나 한지. 그런 게 답답하다. 영화에서처럼 고주망태가 되도록 술이나 마셔야 헛소리라도 하지.

내가 아는 어떤 사람도 얼마 전 자신의 복잡한 사연을 털어놓으면서 이 얘기는 어느 누구에게도 하지 못해 그동안 괴로웠다고 했다. 그 얘기를 들으면서 너무 복잡한 스토리에 난 그날 하루 종일 심란했다. 얼마나 오랫동안 가슴속 얘기를 하지 못했고 또 답답했을까. 얘기해도 될까 하고 몇 번씩이나 조심스럽게 망설이던 모습이 계속 떠올랐다. 난 기꺼운 마음으로 들어주었다.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다고 울면서 말하는 재훈의 얘기를 들어준 것처럼 나도 안 들어주면 도저히 안될 것 같아 그냥 들어주었다. 아무에게나 말하지 못하는 속사정을 들어주는 사람의 인내심은 정말 아름답다. 말하기도 어렵지만 들어주는 것도 보통 정성이 아니면 안 된다.

뭐든지 조심해야만 하는 세상을 앞으로 얼마나 더 살아가야 할지 기약이 없어 막막하기만 하다. 청춘들은 자유로운 사랑을 해야 할 권리가 있는데 이렇게 막막하고 먹먹한 사회적 거리를 어떻게 비집고 들어가 사랑을 할까. 코로나 블루 시대의 사랑은 새롭게 사막을 건너는 법으로 등장했다. 

정재형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정재형 동국대 영화영상학과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