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21:05 (금)
日 진보 월간지 ‘여성의 광장’ 광주 5·18항쟁 40주년 기획
日 진보 월간지 ‘여성의 광장’ 광주 5·18항쟁 40주년 기획
  • 조재근
  • 승인 2020.05.07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훈 전남과학대 교수 집필 ‘5·18 실상과 유적지’ 소개
일본 월간지 여성의 광장 6월호. (전남대 김정훈 교수 제공)
일본 월간지 여성의 광장 6월호. (김정훈 교수 제공)

 


일본 진보의 대표적 여성월간지 ‘여성의 광장’이 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광주 5·18항쟁’(7페이지에 걸쳐)을 소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광주의 시인 문병란의 ‘직녀에게·1980년 5월 광주’와 김준태의 ‘광주로 가는 길’을 일본에 번역, 소개한 김정훈 전남과학대 교수가 집필한 것으로 밝혀졌다.
‘여성의 광장’은 1979년 창간 이후 일본민주주의문학회 작가들의 소설발표의 중요한 무대이다(일본 위키피디아). ‘여성의 광장’ 편집자가 김교수의 지난해 일본 방문 때의 인터뷰를 계기로 ‘광주민주화운동을 방문한다’라는 기획이 추진 된 것.
김 교수는 서두에 ‘80년 광주민주화운동은 무엇일까’라며 말문을 연 뒤 일본 독자들을 향해 5·18항쟁의 배경에 대해 소개했다.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 광주시민이 주체가 되어 불법 쿠데타 세력에 정면으로 맞선 민중봉기”라고 언급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화려한 휴가’나 ‘택시운전사’가 방영된 사실을 거론했다.  
그리고 문병란 시인이 5·18항쟁의 ‘본질적 근원’에 대해 언급한 내용을 인용, “5·18광주민중항쟁의 본질적 근원은 한반도의 민족모순인 외세와 분단에 있으며 계층적·지역적 불평등에서 연유됐다. 이 민족모순을 이용해 자신들의 이익과 연결시킨 제국주의적 지배논리에 대한 근원적 저항에서 자주·민주·통일을 이룩하고자 하는 민족운동의 결합”(‘문병란 시집―직녀에게·1980년 5월 광주’, 2017, 후바이샤에서 발췌)이었다고 적었다.
그런 뒤 한국인들이 기억유산으로 광주의 평화, 민주, 통일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점을 강조하며 ‘광주 5·18항쟁’의 유적지로 ‘국립 5·18민주묘지’와 망월동 구묘역, ‘5·18민주광장’과 ‘구 전남도청’, 전일빌딩, ‘5·18기념공원’과 ‘5·18자유공원’을 차례로 소개했다. 
당시의 상황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김준태 시집의 해설 부분을 인용해 “시민의 평화적 데모행진은 눈앞에서 우리들의 친구와 가족을 계엄군이 무력으로 제압하고 총탄을 발사한 순간 격화했다.(중략) 애국가를 제창하는 시민에게 발포하는 군에 저항심을 갖지 않는 사람이 있겠는가. 광주시민은 나라를 지키는 군을 위해 세금을 내고 있었다. 그런데도 군이 민주주의를 외치는 자신들에게 총을 발사할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김준태 시집―광주로 가는 가는 길’, 2019년 후바이샤에서 발췌)”라고 언급했다.
김교수는 말미에 일본의 진보적 작가 마쓰다 도키코의 ‘땅밑의 사람들’의 문구 “(산 자는) 희생자에게 할 말이 없다”는 표현을 들추었다. 그리고 이 표현이 광주에서도 그대로 통용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최근 김교수가 번역한 일본 양심적 시민단체의 활동과 근로정신대 동원의 실상을 파헤친 ‘인간의 보루(야마카와 슈헤이, 소명출판)’는 광주의 리명한 원로작가의 지원과 5·18항쟁을 시로 알린 김준태 시인의 조언을 참고로 엮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리명한 작가는 번역 얘기가 나올 때부터 출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김준태 시인은 원고를 여러 차례 숙독하며 저자의 한국전쟁에 대한 기술의 완성도를 위해 코멘트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