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19 14:00 (화)
연구모임을 찾아서(4): 한국 전통사상연구에 새로운 획을 긋다
연구모임을 찾아서(4): 한국 전통사상연구에 새로운 획을 긋다
  • 이은혜 기자
  • 승인 2003.09.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학고전분야 전남대 ‘주자대전’ 번역연구 팀

한국 전통사상의 원형을 복구하며 서구사상의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동양사상은 우리사회에서 지식과 실천의 담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 중에서도 5년여 전부터 독회모임을 꾸려 꾸준히 동양사상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곳이 있다. 전남대 철학과의 ‘주자대전’ 번역모임이 바로 그곳. 1998년 백은기 전남대 교수(동양철학)를 비롯해 류근성, 안동교, 장복동 교수 등 동료들이 모여 독회를 시작했던 것이 오늘날 번역모임으로까지 이어지게 됐다. 지금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과제로도 선정돼 ‘주자대전’ 완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만만치 않은 작업인데 어떻게 모이게 됐나.
“한국에서 주자학 전공자들이라면 누구나 ‘주자대전’ 번역에 대해 욕심을 갖고 있다. 우리도 ‘주역본의’를 번역하던 작은 모임에서 출발해,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주자대전’에 달려들었다. 그 동안 ‘주자대전’ 번역이 간헐적으로 시도된 바 있지만, 체계적으로 완역을 시도하는 것은 우리가 처음이다.”

△문학, 철학, 사학, 한의학 등 여러 분야가 모였다. 관점들이 어떻게 다르며, 수렴되나.
“주자 자신이 경학가, 사상가, 행정 관료, 시인, 교육가, 역사가 등 다양한 면모를 띠고 있어 여러 분야의 참여는 필연적이었다. 물론 개념이해부터 이론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논쟁들이 일어난다. 이는 두 가지로 해결하는데, 우선 번역의 교열과 윤문 부분을 다양한 전공자 집단에게 맡기는 것과, 또한 인터넷을 통해 공개적인 검증을 받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동양철학 전문사이트(www.chuhsi.com)를 통해 회원들 간 네트워크로 공개검증을 강화해갈 예정이다. 연구진은 교수 7명, 박사 12명, 석박사과정생 22명으로 구성됐다. 전부 5개 팀으로 나뉘, 제1팀은?주자대전?1권~10권까지 전담한 한문학 전공자들로, 나머지 네 개 팀은 11~64권까지 번역한다. 여기엔?주자대전차의집보?를 비롯한 주석자료 번역이 포함된다.”

△주요하게 이뤄졌던 논쟁들을 소개해 달라.      
“우선 번역과정에서는 퇴계와 율곡의 입장차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를 들 수 있다. 양자의 주석번역작업 때 논쟁이 있었지만, 번역단계에서는 양자 해석의 같고 다른 점을 비교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퇴계와 율곡에 대한 재해석과 논쟁은 번역을 마친 후 본격적으로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소하게는 ‘一樽酒’라는 구절 해석에서부터 진량과의 왕패 논쟁에 이르기까지 주석해석에서 충돌이 많이 발생한다. 지속적으로 헤쳐 나가야 될 난제로 남아있다.”

△연구작업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뭔가. 
“비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 가장 고비였다. ‘주자대전’을 읽긴 하지만, 완역이 되리라는 어떤 보장도 없었기에 독회를 끊임없이 이어나가는 데 큰 결단이 필요했다.”

△현 연구진으로 주자대전을 완역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릴 텐데.
“일단 번역시도 자체에 가장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우리 연구로 주자학 연구에 필요한 참고문헌들이 만들어지는 것도 큰 성과다. 장기적으로 가장 크게 기대하는 것은 네트워크다. 공동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 관용어, 숙어, 문장, 문단 등을 공유하고 있으며, 모든 원전류들을 디지털화 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역적 한계에 갇히지 않고 번역의 오류와 곡해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다.
주자대전 완역은 10년 정도 예상한다. 첫 3년은 1권~64권, 차기 3년은 1백권까지 완역하는 게 목표다. 또한 ‘속집’, ‘별집’, ‘유집’ 등도 번역함으로써 우리말 주자대전을 완전히 갖출 예정이다.”

△‘주자대전’이 21세기 학문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가.
“주자학은 동양문화의 중심코드이면서 한국 전통문화의 사상적 원천이라 할 수 있다. 즉, 동아시아의 문학,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므로, 이를 번역한다는 것은 동아시아의 문화적 코드를 이해하기 위한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일반 교양인이라면 누구나 어려움 없이 읽을 수 있도록 주자대전을 번역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이은혜 기자 thirteen@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