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01:50 (금)
『성스러운 유방사: 어떻게 가슴은 여성의 ‘얼굴’이 되었는가?』
『성스러운 유방사: 어떻게 가슴은 여성의 ‘얼굴’이 되었는가?』
  • 교수신문
  • 승인 2019.08.02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슴엔 죄가 없다. 다스릴 건 바라보는 자의 욕망이다

『성스러운 유방사: 어떻게 가슴은 여성의 ‘얼굴’이 되었는가?』(다케다 마사야 편저, 김경원 옮김, 아르테, 328쪽, 2019.07)

‘유방’이라는 단어를 듣고 남성의 몸을 떠올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큰 의심 없이 ‘유방’은 여성의 신체로 인지되곤 한다. 사실 ‘유방’뿐 아니라 ‘가슴’이라는 단어를 쓸 때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사람들은 어떤 신체 부위가 생식과 관련이 된 경우에 자꾸 거기다 ‘숙명’ 같은 걸 부여하고 싶어 한다. 예를 들어 여성의 가슴은 수유를 목적으로 한 기관이니 모성의 상징으로 느끼고 표현하는 게 당연하다는 생각이 그렇다. 이런 논리에 따르면 수유의 기능이 없는 남성의 가슴은 없는 존재나 다름없어진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남성 유방에서는 두드러지지 않는 여성 유방의 ‘융기된 부분’은 ‘차이’로 인해 생식 활동을 유도하는 ‘유혹’의 기관이며, 그렇기에 미적인 평가 대상인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도 그렇다. 이렇게 ‘가슴은 곧 여성’이라는 이미지, ‘여성의 가슴은 성性적’이라는 명제는 오랫동안 의심되지 않아 왔고, 여전히 일각에서는 의심하지 않는 명제 중 하나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이 전제에 대해 의심하거나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 책 역시 그런 사람들이 모여 오랜 시간 고민한 결과물이다.


총 3부로 이루어진 이 책은 일본과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서양의 ‘가슴 문화’에 각각 집중한다. 각 부마다 각국의 가슴 문화를 개괄하는 ‘총론’과 한 가지 주제에 집중한 ‘가슴 이야기’들, 그리고 각국의 가슴 문화를 보여 주는 장소에 방문한 답사기인 ‘세계의 젖가슴 산책’, 이 책에서 다루지 못한 더 많은 가슴 이야기를 담은 책들을 소개하는 ‘젖가슴 공부’로 구성되어 있다. ‘가슴을 열고’서, 이 꾸준하고 진지한 연구자들이 이끄는 가슴의 세계로 빠져들다 보면 어떤 가슴을 만나도 당황하지 않는, 비할 데 없이 넓어진 ‘가슴의 지평’을 얻은 자신에게 스스로 놀라게 될 것이다.


한 소설에서는 세월호 희생자인 여고생의 ‘젖가슴’을 과일에 비유한 표현을 담아 논란을 빚었다. 남성 소설가의 작품에서 ‘젖가슴’은 자주 등장하는 소재다. 하지만 철저한 ‘대상’으로, 그렇기에 오히려 상투적으로 표현되곤 한다. 온갖 수식으로 꾸며도 결국 부드럽고 유혹적이라 탐나는 가슴이거나 성적으로 문란하고 타락한, 혹은 나이가 지긋해 생기를 잃어 축 늘어진 가슴이다. 폴 고갱에 감화되어 하반신에 도롱이만 두른 ‘남국의 여성들’을 그린 근대 일본 남성 화가들의 그림 속 젖가슴들도 마찬가지였다. 실재하는 젖가슴을 앞에 두고도 그것과는 영 딴판인, 적당한 생김새를 더듬더듬 찾아 가며 만든 개성 없는 모양새다.


그렇다면 남성에서 여성으로, 시선의 주체가 바뀌었을 때 가슴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할까? 남양군도에 방문해 ‘남국의 여성들’을 그린 여성화가 아카마쓰 도시코의 그림 속 여성들은 젖가슴도 젖꽃판(유륜)도 위치와 크기, 색이 제각각이다. 여성 만화가 오카자키 교코가 묘사한 젖가슴은 과장되지도 미화되지도 않았다. 하지만 그 곡선은 따라서 덧그리는 것만으로도 쾌감을 줄 정도로 다른 여성 만화가들에게 선망의 대상이다. 여성 소설가 장아이링은 젖가슴을 두근대는 심장을 품고 작은 부리로 손을 콕콕 쪼는 작은 새로 묘사한다. 여성 창작자가 그려 낸 젖가슴들은 남성 창작자들이 쉬이 벗어나지 못했던 아름답고 유혹적인 젖가슴과 추하고 역겨운 젖가슴의 이항대립을 깬 다. “가슴이라는 부위는 얼굴과 마찬가지로 아름다움과 추함이라는 양극으로 나눌 수 없다는 당연한 사실”을 보여 준다.


이 책에서 다루는 가슴 이미지 가운데 상당수는 ‘환상 속 가슴’이다. 보형물을 넣어 부풀린 소설 속 송강의 가슴, 여장 배우가 연기하는 가슴, 인어의 가슴, 야인의 가슴, 젖소 캐릭터의 가슴, 만화 속 가슴까지가 그렇다. 하지만 어느 순간 실재하는 가슴과 ‘환상’의 가슴은 경계가 흐려진다. 여기에 가슴이라는 신체 부위에 속성이 있다. 실재하는 인체 부위임과 동시에 투명한 창이나 맑은 거울이 되어 욕망을 투과하고 투사한다. 그 욕망이 종교든, 사상이든, 성욕이든, 처벌욕구든 가슴은 그대로 비추어 낸다. 이렇게 수없이 많은 가슴이 그저 수없이 많은 욕망의 얼굴일 뿐이다. 가슴에는 죄가 없다. 벗은 가슴을 바라보고 탓할 필요가 무어란 말인가. 다스릴 것은 바라보는 사람의 욕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