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22:40 (금)
인천대式 복수학위제 융복합 인재 양성 礎石 될까
인천대式 복수학위제 융복합 인재 양성 礎石 될까
  • 문광호 기자
  • 승인 2018.05.14 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인지역 대학 간 복수학위제 2019년부터 도입
지난달 27일 열린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 정기총회에서 조동성 회장이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제공=인천대 홍보실
지난달 27일 열린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 정기총회에서 조동성 회장이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제공=인천대 홍보실

인천대가 주도하는 국내 대학 간 복수학위제 도입에 경인지역 대학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학위 쏠림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27일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회장 조동성 인천대 총장)는 ‘제11차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 정기총회’를 열고 공동·복수학위제도에 대해 논의했다. 

조동성 인천대 총장은 “4차 산업혁명,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대한 경인지역 대학의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복수학위제도를 추진하게 됐다”며 “교육서비스의 공동 활용을 통해 경인지역 고등교육의 시너지가 확산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복수학위제로 전공 선택 기회 넓어진다

경인지역 대학들은 복수학위제 도입으로 학생들이 쉽게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 자신에게 맞는 전공을 찾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김동규 성결대 학사관리과장은 “학생들의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학위제에 참여하게 됐다”며 “복수학위제를 통해 적성이 안 맞는다고 대학을 자퇴하기 보다는 다른 대학에 다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참여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조 총장 역시 “대학 진학 시 여러 가지 이유로 자신이 희망하는 전공을 선택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복수학위 제도를 통해 이를 해소해주고자 한다”고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복수학위제는 경인 지역 대학 간 네트워크 강화로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지난해 9월 체결한 ‘경인지역 대학 간 업무협력 협약서’에 따르면 29개 협약 대학교들은 △학점 상호인정 △비교과 프로그램 공동 운영 △교수학습법 교류 △공동연구 활성화 △동일조건 사용 캠퍼스 시설 공유 △학술회의 공동 개최 등에 합의했다. 복수학위제보다 높은 단계의 공동학위제 도입이 함께 추진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다. 김희정 강남대 교무팀장은 “이미 학점 교류 등을 통해서 다른 대학의 학점을 인정하고 있었기에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복수학위제 추진에 참여했다”며 “향후 공동으로 융복합 교육과정을 만들고 학위를 수여하는 것도 도입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복수학위제 등 학제의 유연화로 융복합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5월 국내 대학 간 복수학위제가 처음으로 허용된 것도 경직된 학사 제도로는 미래에 대비하기 어렵다는 여론에서 비롯됐다. 김정훈 교육부 사무관은 “대학에서 제도 개선 요구가 많았고 규제보다는 대학의 자율성을 위해 풀어주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틀에서 복수학위로 대학 간 인적 자원과 특·장점을 교류하면 학생 입장에서도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보고 복수학위제를 허용했다”고 말했다. 
 

학위 쏠림 현상 등 우려도 있어

일각에서는 복수학위제 도입 시 예상되는 학위 쏠림, 학생 간 차별 등의 문제를 대학이 자율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윤지관 한국대학학회장(덕성여대 영어영문학과)은 “전공의 내실이 충분히 다져지지 않고 교육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복수학위제를 하면 한 가지도 제대로 못할 가능성이 크다”며 “당장 구조조정 국면에 놓인 대학들이 존재하고 대학 서열화 같은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수학위제 도입은) 교육의 균형 잡힌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학생들 역시 복수학위제의 실효성에 대해 유보적 판단을 내리고 있다. 최성욱 인천대 부총학생회장은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아 학생들의 의견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지만 “교류하는 대학들을 봤을 때 학생들이 교류에 긍정적일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복수학위제를 주도하는 인천대는 이러한 우려들을 충분히 고려해 추진 중이라는 입장이다. 고민정 인천대 교무과 주무관은 “복수학위 과정을 밟는 학생들은 입학 정원의 20% 이내에서 선발하기 때문에 학위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며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기존의 복수전공을 다른 대학으로 확대한 개념이라 교육 기간이나 내용 면에서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학문 간 통섭과 융합의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복수학위제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서울지역 대학들 역시 공유대학 플랫폼을 추진하는 등 학과 간, 대학 간 학문 교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관건은 결국 교육 수준의 전반적인 제고다. 대학들 각각이 충분한 교육 환경과 내용을 공유할 수 있을 때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문광호 기자 moonlit@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