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06:05 (수)
곧 ‘원로’가 될 분들에게
곧 ‘원로’가 될 분들에게
  • 교수신문
  • 승인 2003.01.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섭/연세대 명예교수·영문학

나더러 원로라고? 하기는 정년퇴임 했으니 원로임에 틀림없지만 퇴임 1년도 안 됐으니 ‘새내기’ 원로다. 그런데 그 짧은 세월이 아득히 느껴지니 웬 일인가. 시간적으로는 열 달이지만 심정적으로는 한 10년 된 것 같다. 어쩌다 학교 근처를 지나다가 옛 동료나 학생들이 조금도 변함 없는 것을 보고는 “이 사람들 세월 가는 줄도 모르네”하는 주객전도된 생각을 하기도 한다. 1년도 못 되는 사이에 급속도로 늙어 진짜 원로가 된 모양이다.

작년 2월 25일 나는 40년 교수 생활을 마감하는 퇴임식에서 “자기가 그만두면 하던 일이 완전히 결단날 판이니 계속 관계를 해야겠다는 것은 아주 그릇된 생각이외다. 세상에 ‘불가결한indispensable’한 사람은 없습지요” 했다. 나는 16년 간 붙잡고 있던 일(국어사전 편찬)을 그 날로 놓고 나왔는데, 대학이라는 데는 언제나 뒤이을 사람들이 줄서는 법이고 만일 없다면 그 일은 더 필요하지 않다는 뜻일 수 있으며 얼마쯤 지나서 일을 계속할 사람들이 다시 긴 줄을 설 수도 있다. 그런 게 대학의 풍속이다.

학생은 보통 4년, 더 공부하려는 사람은 6년 내지 10여 년을 신물나도록 시험치고 숙제하고 논문 작성하며 보내는데 나는 40년 동안 강의하고 문제내고 채점하고 논문 쓰고 책 내는 짓을 ‘신물’이 나기 직전 적절한 시기에 그만 둔 것이다. 미국 대학처럼 정년이 없다면 신물 아니라 진물이 뚝뚝 흐를 때까지 계속해야 할 터이니 크나큰 고역이겠다.당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없는 고문이겠고.

교수들은 마지막 2∼3 년 동안에는 평생 몸에 밴 그 노릇에서 조금씩 멀어지는 연습을 하는 게 좋다. 어차피 떠나야 할 터수이니 속담처럼 “정을 떼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 그 잦은 회의에 더러 빠지기도 하고 출석하더라도 별 말 없이 앉아 있기도 하고 신임교수 채용문제로 후배 교수들이 대접전을 벌일 때 끼이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그런 문제를 끝까지 물고 늘어지다가 쓰라린 상처를 주고 입고 떨어져 나오는 이가 적지 않아 하는 말이다.

연구실 책 중에서 집에 가져갈 것은 남의 눈에 띄지 않게 조금씩 날라오는 것이 은근히 정 떼는 법이다. 그런 뒤 학생들에게 맘대로 골라가라고 해도 좋다. 어느 날 갑자기 여봐란 듯이 이삿짐 센터의 차를 불러 한꺼번에 내가는 것은 정 단절 과시행위다. 내 친구는 몇 달이나 좁은 아파트에 갖다둘 책을 고르다가 포기하고 모든 책을 연구소에다 가져가라고 했다. 또 한 친구는 공공도서관에 가져가라고 했더니 그렇게 고마워할 수가 없더란다. 도서관에서는 쓸 만한 책만 고르고 나머지는 버리고 간다. 대체로 졸업논문, 학술논총, 화갑기념 논문집, 호화판 대학 선전책자 따위는 파지 더미에 버려진다.

서랍 정리는 시간이 꽤 들지만 흥미롭다. 갱지에 찍은 ‘도서반납 독촉장’이 어떻게 지금까지 보관돼 있었는지 놀란다. 옛 학생이 보냈던 편지, 빛 바랜 사진, 연하장 따위가 오래 묵은 서류 사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그런 일이 있었던가! 그 중 소중한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따로 모아놓는다. 나는 1960년 사태 때 농성교수들의 성명서들을 발견하고 기록보존소에 보냈다.

이렇게 슬금슬금 정을 떼고 떠나면 퇴임교수는 어느새 까마득한 후배를 멀찍이 바라보는 원로가 된다. 원로는 그런 대로 편하다. 때로는 바쁘기까지 하다. 원로원에 오심을 환영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