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6:55 (토)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45%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45%
  • 김홍근 기자
  • 승인 2017.04.10 09: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 근로자 일자리 이동 분석 결과 살펴보니…
청년실업문제가 장기화 되면서 일자리의 질이 낮더라도 우선 취업을 한 후 이직을 고려하는 청년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취업한 지 1~2년 내에 이직을 하거나 이직을 준비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통상적으로 일자리의 질이 낮다고 생각하는 비정규직이나 중소기업일수록 정규직이나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것이 수월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조사결과가 발표돼, 이에 따른 향후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종단 데이터를 이용해 2014년(11차년도)과 2015년(12차년도) 사이의 임금근로자(퇴사자 포함) 3천590명을 대상으로 △이직자의 일자리 특성 변화와 △일자리 유지자와 퇴사자의 특성을 비교·조사하고, 지난 4일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이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일자리를 옮긴 임금근로자들은 특성 변화를 살펴보면, 이직 전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다시 정규직으로 이직한 비율은 80.4%, 비정규직으로 이직한 비율은 19.6%를 각각 차지했다.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 중 정규직으로 이직한 비율은 45%에 그쳤다.
 
▲ 자료제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업 규모에서도 이직자들의 특성은 뚜렷이 나타났다. 대기업에 종사하던 근로자가 중소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53.2%,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46.8%로 근소한 차이를 보인 반면, 중소기업에 종사하던 근로자의 경우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15.4%에 그쳤다. 이는 앞서 청년들이 취업난으로 인해 선취업·후이직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을 이직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안타까운 현실이 드러난 것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이직자의 이직 후 월평균 임금은 183만9천원으로 이직 전보다 10만2천원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직장 유지자는 그보다 높은 14만원이 오른 것으로 나타나 이직을 하는 경우보다 직장을 유지하는 경우가 오히려 임금상승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이직자들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이직자들은 이직 후 업무와 직장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의 업무만족도는 이직 전 35.9%에서 이직 후 42.1%로 6.2%p 올랐고, 직장만족도는 32.7%에서 42.1%로 9.3%p 올랐다.
 
그렇다면 일자리 유지자와 퇴사자의 특성은 어떤 차이를 보였을까. 먼저 일자리 특성으로 보았을 때, 일자리 유지자 집단의 90% 이상이 상용직에 종사한데 반해, 퇴직자 집단은 약 75% 정도만이 상용직에 종사하고 있었다. 임시직의 경우에는 일자리 유지자 그룹에 비해 퇴사자 집단이 약 14%p 높았다. 또한, 비정규직일수록 중소기업일수록 유지자보다 퇴사자 비율이 각각 20.7%p, 12.9%p 높았다.
 
일자리 유지자 집단의 월평균 임금은 194만원으로 퇴사자 집단(약 161만원)보다 약 33만원 이상 높게 받고 있었으며, 일자리 유지자 집단의 경우 월 평균 200만원 미만 소득자의 비율이 54%인데 반해, 퇴사자 집단은 약 75%를 차지했다.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여부에서도 모든 부문에서 일자리 유지자 집단이 퇴사자 집단보다 높은 가입률을 보였다. 업무, 근무환경,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도 일자리 유지자 집단의 경우 긍정적인 답변이 50% 내외를 차지한 반면, 퇴사자의 경우 30~40%대 수준에 그쳤다.
 
이번 청년층 일자리에 대한 자료 조사·분석을 실시한 KRIVET는 “임금, 규모, 복지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일자리에서의 청년층 이탈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만큼, 해당 일자리의 근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관심과 기업들의 일자리 질 개선 노력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또, “고용 안정성이 낮은 일자리에서 높은 일자리로 올라가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 수 늘리기에 집중하기 보다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처음부터 좋은 일자리에 들어가기 위해 무리하게 졸업을 유예하거나 취업을 장기간 연기하는 것보다 차근차근 경력을 쌓아 좋은 일자리로 진입하는 경로가 개인과 사회에 더 큰 이익이 될 수 있어야 한다”며 제도 개선의 필요함을 강조했다.
 
김홍근 기자 m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