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0 05:25 (토)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전문인력’ 국가적 고민해야”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전문인력’ 국가적 고민해야”
  • 김홍근 기자
  • 승인 2017.04.03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대학, ‘고등직업교육 혁신’을 외치다_ ① 고등직업교육 육성, 왜 필요한가?
<교수신문>은 앞으로 4회에 걸쳐 전문대학이 말하는 고등직업교육 혁신안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2017년 전문대학 주요 정책제안 4가지(△전문대학을 직업교육대학으로 전환
△고등직업교육 육성법 제정 △고등직업교육교부금법 제정 △고등직업교육정책실 설립 등)가 어떤 현실적인 고민을 담아내고 있으며 또 어떤 구체적인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지 집중 조명할 것이다. 또한 오는 5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후보자들의 교육정책
공약에 ‘직업교육’에 대한 고민이 얼마나 담겨있는지도 함께 알아볼 계획이다.
 
 
지난 2월 2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전문대학 정책포럼에서 윤여송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 사진제공= 전문대교협
지난 2월 20일 열린 전문대학 정책포럼 개회사에서 윤여송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회장은 이런 말을 인용했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
 
사실 전문대학이 변화의 목소리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위기의 순간마다 여러 ‘생존’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해왔지만, 위기를 돌파할만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불어닥친 4차 산업혁명의 바람은 전문대학을 벼랑 끝으로 몰기 시작했다. 지금과 같은 시스템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스스로 잘 알고 있었던 전문대학이, 이번엔 지금까지와 다르다며 ‘새 술’을 꺼내든 것이다. 과연 그들이 말하는 ‘새 술’과 ‘새 부대’는 무엇일까?
 
2월에 열린 전문대학 대토론회에서는 이러한 전문대학의 고민들을 엿볼 수 있었다. 그들은 1970년대 산업사회의 요구에 따라 전문대학이 탄생했지만, 계속되는 사회 변화 속에서 전문대만 변하지 못하고 있음을 직시했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전환 속에서 같은 양상이 반복된다면, 더 이상 살아남을 수조차 없는 것 또한 인정하고 있었다. 현실을 깨닫고 있으면서도 변화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 속에서, 전문대학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를 제시해야만 했다. 사실상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회심의 한방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들이 말한 ‘새 술’은 고등직업교육 육성에 관한 정책적 제안이었다. 그리고 ‘새 부대’는 ‘고등직업교육 육성법 제정’이라는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 방안이었다. 고등직업교육이라는 해묵은 주제 너머에 특이점 하나가 발견된다. 그것은 ‘전문대학만을 위한 변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들은 일반대학과 중등과정의 직업교육, 그리고 평생직업교육까지 모두를 포괄할 수 있는 거시적인 정책을 제안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전문대학의 주장처럼 지금, 고등직업교육 육성이 왜 필요한가였다. 전문대학은 그 이유를 ‘고등직업교육이 처한 현실’과 ‘시대적인 요구’에서 찾았다. 현재 전문대학이 주 기관으로서 담당하고 있는 고등직업교육의 현실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기에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기우, 전문대교협) 차원에서 고등직업교육 혁신 방안을 제안할 테니, 국가가 나서서 그것을 담아낼 그릇을 만들어달라는 게 그들의 요구였다.
 
전문대교협의 부설기관인 고등직업교육연구소의 이해선 소장도 같은 입장이었다. 그는 “앞으로 인공지능과 로봇의 발달로 산업구조가 크게 개편될 텐데, 새롭게 등장하고 부각될 직업군에 있어서 그들을 체계적이고 수월하게 교육해내는 역할을 고등직업교육이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며 “이러한 정책제안이 자연스럽게 실현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의 관심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외면 받던 전문대 “이제는 멀리보자”
 
지난날의 전문대학이 수업연한 다양화와 같은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시했던 이유는 일반대학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함이었다. 그들의 요구들은 생존을 위한 ‘비명’과도 같았다. 그러나 세간의 관심이 일반대학에 집중돼 있었기 때문에 그 주장이 큰 힘을 받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전문대학이 일반대학에 비해 외면 받고 있었다는 것은 교육부 내 교육행정 조직 편성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고등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정책실에는 12개의 ‘과’가 있다. 그 중 전문대학을 담당하는 과는 ‘전문대학정책과’ 하나뿐이다. 교육부 전체로 놓고 보면, 3개 실, 3개 국, 11개 관, 49개 과의 578명 담당관 중 전문대학 전담은 1개 과 13명의 담당자가 다였다.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재정지원사업에서도 상황은 비슷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일반대학에 시행된 재정지원사업은 11개인 반면, 전문대학은 단 2개(특성화사업, LINC사업)였다. 정부에서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에 지원한 총액대비 지원비율(2014년 기준)에서도 그 격차는 매우 컸다.
 
학력중심사회에서 전문대학이 차별받았던 것은 어제오늘일이 아니었다. 대학 진학을 희망해 입시를 준비하는 대다수의 학생들은 일차적으로 일반대학을 생각한다. 성적에 따라 명문대부터 채워지기 시작해, 그 경쟁에서 밀려난 학생들이 전문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화됐다. 결국 전문대학은 국가에, 그리고 학생들에게 철저하게 외면 받고 있었다. 이에 전문대학은 이러한 악순환의 구조를 끊고 불평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직접 나서야 한다고 주장해왔던 것이다.
 
하지만 전문대학이 이번 정책제안에서 고등직업교육의 혁신을 외치는 것은 단순 그들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들은 빠르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체계화된 고등직업교육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멀리보고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전문인력을 언제든지 양성할 수 있도록 준비돼 있어야 하며, 고령화 시대의 도래는 평생직업교육까지도 총괄하는 고등직업교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기존의 일자리들이 사라지고,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기도 할 것이다. 사회와 직업의 변화에 국가가 따라갈 수 있으려면, 직업교육 강화·체계화는 치러야할 필수 코스일지도 모른다. 일반대학도 이미 취·창업 중심으로 학생들을 교육하기 시작하면서, 우리 사회의 가장 고민은 ‘먹고 사는 일’이라는 것이 증명된 상황이다. 결국 시대의 변화는 새로운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할 것이고, 그 역할을 ‘고등직업교육’이라는 큰 틀을 마련함으로써 해결하자는 것이 2017년 전문대학 정책제안의 핵심이다.
 
김홍근 기자 m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