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09:55 (금)
“경제성장 뒤따라온 ‘부작용’ 극복해야 미래있다”
“경제성장 뒤따라온 ‘부작용’ 극복해야 미래있다”
  • 최성욱 기자
  • 승인 2015.08.17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광복 70주년을 다시 생각한다

일제 식민지배를 벗고 광복 70주년을 맞았다. 정치·경제 분야에서 많은 이들이 세계 속의 한국을 말하고, 민족의 저력에서 그 배경을 찾기도 하지만 우리는 전지구적 과제와 도전 앞에 직면해 있다. <교수신문>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학계를 포함해 △사상(철학) △정치 △경제 △사회 △역사 △교육 등 사회 전체 분야에서 각각의 의미를 되짚어봤다.

지난 70년, 한국사회를 관통한 하나의 맥을 찾으라면 단연 ‘경제’다. 한국은 영국의 6배, 일본의 3배나 빠른 사회변동은 경제 부문의 추진체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성장의 속도만큼 부작용도 가속도가 붙어 뒤따라왔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소득격차는 코앞에 닥친 저출산, 고령화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풀어야할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홍훈 연세대 교수(경제학)는 “생계와 소득을 위한 ‘노동’을 인간적인 ‘활동’으로 바꿀 수 있도록 정책과 제도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정리해고와 조기퇴직, 비정규직 고용이 급증한 데 따른 불안정한 생활은 다시 ‘공동체란 무엇인가’를 생각케 만든다. 신광영 중앙대 교수(사회학과)는 “세대마다 다른 경험이 세대마다 다른 생각을 낳게 했다”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새로운 생각과 열린 자세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미래가 과거를 새롭게 인식하게 만드는 일은 명확한 역사인식에서 출발한다. 예컨대 2013년 교학사의 역사교과서 검정에 통과에 따른 파행과 논란을 비롯해 진실된 역사의 기억이 잊혀지거나 왜곡되는 현상을 두고 한국역사연구회장 정용욱 서울대 교수는 “한국사회의 역사적 기억상실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또 “역사는 탐구의 대상이지 결코 정략과 전쟁의 대상이 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런 의미에서 엄정식 서강대 명예교수는 “광복 70년이 곧 분단 70년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며 과거를 통해 미래를 그리는 과정에서 ‘민족사상의 단절’까지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절박한 국가 과제가 해결방안을 기다리고 있다. 나아가 고령화, 양극화, 자원 고갈, 식량난 등 미래 한국사회가 맞닥들일 전지구적 이슈에도 답을 내놔야 한다.

광복 70주년, 대학과 학계가 사회에 풀어놓아야할 이야기들은 무엇일까. 70년 한국 현대사를 돌아보고 당면한 과제와 미래지향적 가치를 각계 전문가들에게 들어봤다.

최성욱 기자 cheetah@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