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30 01:00 (토)
“古典번역은 해석의 문제”… 그렇다면 고전의 미덕은?
“古典번역은 해석의 문제”… 그렇다면 고전의 미덕은?
  • 최익현 기자
  • 승인 2015.02.03 14: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의 안과 밖 시즌2_ 2강, 유종호 전 연세대 석좌교수의‘서양의 고전: 한 시험적 조망’

▲ 시즌1 강연 때의 유종호 교수                                                           <사진·자료제공=네이버문화재단>
‘문화의 안과 밖’시즌2‘ 고전읽기’2강은 유종호 전 연세대 교수의‘서양의 고전: 한 시험적 조망’으로 지난달 31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안국빌딩 신관 4층 W스테이지에서 2시부터 진행됐다. ‘고전읽기’강연 기사가 나간 뒤, 어떻게 참여할 수 있냐는 문의전화가 잇따른 데서 알 수 있듯, 강연에 대한 청중들의 열기는 뜨거웠다.
유 교수는 2006년 연세대 석좌교수에서 퇴임함으로써 교직 생활을 마감했지만, 현재 제36대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으로 왕성한 비평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는『한국인의 가치 해체에서 재구성으로』(공저),『 한국근대시사』,『 시와 말과 사회사』, 『 시를 어떻게 만날 것인가』,『 문학이란 무엇인가』등이 있고 은관문화훈장(2001), 제3회 대산문학상(1995) 등을 받았다. 다음은 이날 강연 일부를 발췌한 내용이다.

양 고전의 구체를 알기 위해서 가령 미국 대학에서 실시한‘명저 읽기(Great Books Program)’를 검토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이 명저 읽기 강좌를 처음 창시한 이는 컬럼비아대의 영문학 교수 존 어스킨(John Erskine)이었다.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또 직업인으로서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고 또 총명한 인간이 되는 최선의 방법은 과거의 지적 예술적 걸작과 절친해지는 것이라는 게 그의 소신이었다.

이러한 확고한 소신을 바탕으로 해서 1920년에 시작된‘교양 우등 과정(General Honors)’은 3학년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해서 15명을 한 반으로 편성한 2년간의 과정으로 일주일에 2시간씩 시행됐다. 그 후 고전읽기 과정은 시카고대나 세인트존스대에서 한결 열의있게 시행된다. 1929년 모티머 아들러(Mortimer Adler)가 시카고대로 부임하면서 총장인 로버트 허친스(Robert Hutchins)와 함께 공동 연구로‘명저 읽기’과정을 구상하고 개설했다. 그리고 여기 사용된 명저들은 1952년에 54권으로 묶여『서구세계의 명저』란 이름으로 브리타니카 엔사이클로피디아에서 간행됐다. 소설, 역사, 시, 자연과학, 수학, 철학, 연극, 정치, 종교, 경제학, 윤리학 등 모든 분야에 걸친 명저들이었다.

유럽 근대인에게 참다운 고전은 말할 것도 없이 고대의 저술가요 책이다. 그 이전의 로마인에겐 그리스고전이 유일한 고전이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계속 읽히고 있으며 읽혀야 할 정도로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고전의 구체적인 성격은 무엇인가.『 서구 세계의 명저』편자들은 책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3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그 역사적 맥락에서의 중요성뿐 아니라 오늘의 문제에 대한 적실한 유관성이 있을 것, 둘째 재독의 가치가 있을 것, 셋째 중요 사상에 관한 대화 일부가 돼야할 것, 즉 편자가 분류한 102개의 주요 사상 중 적어도 25개 항목과 유관해야 할 것을 들고 있다. 그리고 인종적·문화적 고려, 역사적 영향, 혹은 저자들이 표명하고 있는 견해에 대한 편자들의 동의는 선정과정에 전혀 배제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명저 읽기’과정은 영어로 번역된 서구 고전 읽기 과정이다. 따라서 번역을 통해서 명저가 가지고 있는 섬세하고 깊은 뜻을 이해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이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이러한 번역의 문제는 특히 동양 문화권에 속하는 우리가 서구 고전 번역을 읽을 때 마주치는 문제이기도 하다. 번역은 또 미묘한 차이를 소거하게 마련이며 원어가 가지고 있는 함의를 엉뚱하게 변용시키기도 한다. 고전 번역은 사실상 해석의 문제이기도 하다.

번역은 그대로 해석이다. 통역을 interpreter라 하는 것은 그 점을 말해준다. 번역을 통해 발생하는 상실이나 사소한 함의의 변화는 불가피하나 그것이 치명적인 것은 아니다. 번역은 사실상 근사치를 향한 진땀 나는 포복이다. 정도의 차이라는 변별성을 지닌 근사치로 만족해야 하는 것이 번역 독자의 불운이다.

지리적으로 상거해 있고 시간상으로 2천500년이나 상거해 있는 외국 고전을 읽을 때 그러한 고전을 산출한 특정 시공간에 대한 약간의 예비지식은 필수적이다. 흔히 그것을 배경이라 한다. 아테나이의 극작가와 플라톤의 시대, 셰익스피어의 시대, 그리고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를 배출한 19세기 러시아 소설의 시대를 유럽 문학사에서 3대 승리의 시대라고 어떤 비교문학자가 말하고 있다. 그리스 고전 비극을 읽을 때 우리가 알아야 할 기초적 배경 지식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그것은 허다하지만 몇 가지 사안을 적어본다.

그리스 문명의 황금기는 아테나이가 주도한 시대다. 그리스 고전의 큰 별들은 호메로스를 제하고는 모두 아테나이 출신이다. 아테나이 시대는 두 시기로 나눠진다. 솔론이나 클라이스테네스가 기초를 다진 상업적 민주정치 체제의 아테나이 성립과 페르시아 전쟁을 승리로 이끈 시대 그리고 스파르타와 마케도니아에 의한 패배의 시대가 그것이다. 비극은 전자의 소산이요 철학은 후자의 소산이다.

화이트헤드가“서양철학은 플라톤 철학에 붙인 각주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는 얘기가 있다. 플라톤은 단편적인 글이 아니라 정치, 법률, 교육, 현실, 어떻게 살 것인가 등에 대한 본격적인 수다한 저작을 남겨놓은 최초의 서양철학자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플라톤을 읽어 보면 화이트헤드의 말이 진실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젊은 날의 플라톤은 비극 시인을 지망했다는 얘기가 있는데 특히『고르기아스』를 읽어 보면 그럴 법하게 들린다.

이 책은 평생을 바르게 또 경건하게 산 사람은 사후에‘행복자의 섬’에서 행복한 삶을 보내게 되고 바르지않게 또 諸神을 업신여기면서 산 사람은 지하의 타르타로스로 떨어져 벌을 받는다는 소크라테스의 말로 끝난다. 이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바르게 살기이며 부정의 대상이 되는 것은 보비위와 영합이다. 재미있게 읽힌다는 것이 이 책의 미덕이고 그것은 모든 고전의 미덕이기도 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