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5:35 (목)
[해설] ‘국립대학 역할분담방안 수립’ 정책연구
[해설] ‘국립대학 역할분담방안 수립’ 정책연구
  • 손혁기 기자
  • 승인 2002.10.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2-10-19 11:51:58
지난 7일 공개된 ‘국립대학 역할 분담방안 수립’에 대한 정책연구 보고서(연구책임자 남궁근 서울산업대 교수)는 국립대학 발전계획에 따라 각 대학이 제출한 자체 대학발전계획의 종합적인 보고서다. 따라서 특수목적대학과 교육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을 제외한 일반 국립대학과 산업대학들이 역할과 기능을 어떻게 분담할 것인가 하는 청사진을 엿볼 수 있다.

먼저 26개 국립대학이 선정한 중점육성분야는 모두 83개다. 일반대학이 66개, 산업대학이 17개 영역을 선정했다. 대학별로는 전북대가 8개 영역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산대 7개, 충남대와 안동대가 각각 6개 영역을 중점육성분야로 선정하고 있다. 반면 강원대, 강릉대, 경상대, 목포대, 밀양대, 상주대, 충주대가 2개 영역, 군산대, 여수대, 서울산업대가 각각 1개 영역을 선정하고 있다.

학문분야별로는 △정보통신:경북대, 충남대, 부산대 등 17개 대학 △생명공학:강릉대, 목포대, 밀양대 등 16개 대학 △나노공학:전북대, 순천대 2개 대학 △우주항공:경상대 1개 대학 △환경공학:안동대, 삼척대 등 4개 대학, △문화콘텐츠:공주대, 목포대, 전북대 3개 대학이다. 기초·보호학문분야를 중점육성분야로 선정한 대학은 경북대, 부경대, 부산대 등 9개 일반대학이다. 26개 국립대학 가운데 2/3 정도가 정보통신과 생명공학을 중점육성분야로 선정하고 있으며, 지역연계 등 대학의 특성에 따른 기타 중점육성분야도 29개 분야에 달했다.

그러나 중점육성분야 선정에서 여건이 우수하거나 상대적 우위에 있는 학문계열뿐만 아니라 산업발전방향에 따라 전망이 밝은 분야를 너도나도 선정하다 보니 ‘중점육성분야’가 교육여건 등에서 오히려 열악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몇몇 대학은 연구비, 장학금, 연구기자재 구입 등 수치상으로 볼 때 차별화된 육성을 거의 하지 않는 곳도 발견됐다.

정보통신분야의 경우 선정 대학이 많아 특히 대학별 편차가 심했다. 경북대 교수 1인당 연구비는 1억2천8백만원, 충남대는 7천5백95만원인 반면, 강릉대는 68만원, 충주대 1백만원, 진주산업대 1백60만원, 한경대 3백15만원, 순천대 9백63만원에 그쳤다.

전임교수 1인당 학생수도 강릉대가 29.4명, 한밭대 30.4명, 부경대 30.7명이었으나, 충남대는 89.7명에 달했으며, 진주산업대와 한경대도 50명이 넘어 중점육성분야라는 말을 무색케 했다.

생명공학분야는 교수 1인당 학생수 등 교육여건은 정보통신분야에 비해 나았으나 학생 1인당 장학금에서 상대적으로 적었다. 대학별로는 경상대(76만8천원), 전남대(57만9천원), 제주대(55만8천원) 순 이었다.

9개 대학이 중점육성분야로 선정한 기초·보호학문분야도 교수 1인당 학생수 등 교육여건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문의 특성상 학생취업률이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기초학문분야를 중점육성분야로 선정한 대학의 학사학위자 절반 가량이 미취업상태라고 추정하며, 정원감축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교수 1인당 연구실적에서는 국제 저명학술지 발표 논문수에서 0.91편으로 나노과학분야와 함께 상위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 중앙학회지의 경우 0.83편으로 하위그룹에 위치했다.

연구팀은 각 대학의 중점육성과제를 종합한 결과 “일부 국립대학에서 거의 대학 전체, 전 학과를 중점육성분야로 선정하고 있다”라며 중점육성분야의 교수·학생비율이 최대 30%를 넘지 않도록 2, 3개 분야에 한정해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역전략사업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실적평가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손혁기 기자 pharos@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