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35 (금)
6년 인문한국 사업으로 모색한 한국인문학의 미래는?
6년 인문한국 사업으로 모색한 한국인문학의 미래는?
  • 윤상민 기자
  • 승인 2013.10.16 11: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떤 토양을 만들 것인가’ 성찰과 고민 더 필요

<교수신문>이 지난달 9일 시작했던 인문한국 기획시리즈는 ‘인문적 토양의 복원을 위한 성찰’이 핵심 키였다. △한국연구재단의 HK교수 채용 압박으로 망가진 연구풍토 △공공재적 가치의 성과물을 창출해내지 못하고 담론 수준에 머문 연구 성과 △해외 인문학연구소의 사례 등을 짚은 것도 장기적인 인문 토양 모색을 위해서였다. 이러한 작업은 결국 ‘한국인문학의 미래’ 모색을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6년차 반환점을 돈 인문한국 사업을 바라보는 HK 연구소 내부의 시선과 외부의 시선은 온도차가 분명했다. 고사 위기에 처했던 한국인문학에 숨통을 트여주게 한 순기능을 높이 평가한 신승운 HK연구소협의희장(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HK사업단장)은 “세계적 학자를 모아놓고 시작한 연구소가 아니다. 세계적 연구소라는 지향점을 잊지 말되 기다려주면 한국적 특성 살리며 보편적 가치를 띠는 미개척 블루오션 분야를 개척해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반면 김혜숙 한국인문학총연합회장(이화여대 철학과)은 지난 6년의 인문한국 사업이 한국인문학의 토양을 비옥하게 했는가에 대해 회의적이다. 그는 “인문한국 사업이 단순히 논문 등의 양적 성장에 치중하기보다는 왜 인문학 학문후속세대들이 과잉 양산되는 지경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고민부터 해야 한다” “연구의 집단적 힘이 창출될 수 있는 공동연구의 지적풍토가 확산돼야 인문한국 사업도 빛을 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문한국 사업과 더불어 인문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목소리도 있다. 손동현 대교협 한국교양기초교육원장은 인문한국 사업과 인문교육이 겉돌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한국과 한국인의 정체성을 고민하는 인문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상민 기자 cinemonde@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