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9:25 (금)
신진세대 선점 경쟁 치열…‘전담교수’는 비정규직?
신진세대 선점 경쟁 치열…‘전담교수’는 비정규직?
  • 김봉억 기자
  • 승인 2012.11.07 1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5년간 신임교수 임용 트렌드

올해 8월, 박사학위를 받자마자 단국대 나노바이오의과학과 조교수로 임용된 윤보은 씨. 29살이다. 연세대를 졸업하고 대전에 있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에서 석ㆍ박사학위를 받았다. 2010년 9월, 그는 세계 최초로 뇌 비신경세포(아교세포)의 새로운 기능을 규명한 논문이 <사이언스>에 실렸다. “오로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름 있는 대학, 해외유학 등 ‘스펙’ 고민을 할 겨를이 없었죠.”

홍인권 단국대 교무처장은 “연구역량과 잠재력이 우수한 예비 박사도 교수로 발탁할 수 있다”며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신진세대는 눈여겨보고 있다가 다른 대학보다 먼저 임용하려고 한다. 국내냐, 해외냐 가리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스타 교수’로 육성할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신진세대를 선점하는 대학가의 경쟁이 치열해 졌다. 올해 하반기 신임교수 834명 가운데 20대는 21명. 16명은 외국인 교수이고, 5명은 한국인 교수다. 눈여겨 볼 점은 5명의 한국인 교수가운데 4명은 국내파다. 강성민 부경대 교수(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는 카이스트에서, 서필준 전북대 교수(화학과)는 서울대에서 박사를 했다. 이들은 1983년생 29살이다. 1982년생 30살인 서정길 명지대 교수(환경에너지공학과)는 서울대에서, 김민 충북대 교수(화학과)는 카이스트에서 박사를 했다. 이윤신 카이스트 교수(29세, 테크노경영대학원)만이 미국에서 박사를 했다.

신임교수 평균 나이가 40세를 웃도는 현실에서 20대에 교수 자리를 얻은 이들은 국내 박사가 대부분이고, 전공 분야도 기초과학 분야가 많았다. 이공계 분야의 국내 박사는 이렇게 경쟁력을 쌓아 가고 있다.

<교수신문>이 매학기 실시하고 있는 ‘신임교수 임용조사’ 현황을 토대로 최근 5년간 신임교수 임용 트렌드를 살폈다. 신임교수 고령화와 비정규직화 현상이 뚜렷해졌다.

2008년 상반기에 신임교수 평균 나이는 39.6세. 지난해 상반기부터는 40세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올해 상반기엔 41.6세를 기록했고, 하반기엔 39.6세로 나타났다. 박사는 계속 늘고 있고, 박사 실업난은 계속되고 있다. 앞으로 10년간 정년퇴임 교수는 급속히 늘어나지만, 학령인구감소에 따라 대학구조조정도 한창이라 자연 충원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신임교수 고령화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올해 상반기 인문 분야 신임교수 평균 나이는 44.2세에 달했다.

국내 박사는 올해 하반기 53.7%를 차지했는데, 지난 2009년 하반기엔 44%로 떨어지기도 했다. 신임교수 영어강의 의무화, WCU 선정 등의 영향으로 외국 박사와 외국인 교수를 선호한 탓이다. 국내 박사가 대부분인 의약학 분야를 빼면 외국 박사 비율이 높다.

최근 5년간 외국 박사의 교수 입직이 늘어났는데, 외국 박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박사의 수요가 많았다. 2008년 상반기에 26.4%에서 올해 하반기에는 31.0%로 비중이 늘었다.

교수사회의 비정규직화 현상은 더욱 확대됐다. 재임용 기회가 제한돼 차별적인 인사제도로 지적됐던 ‘비정년트랙’ 교수가 더 늘어 난 것이다. 2008년 상반기에 16.6%에서 올해 하반기에는 18.1%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에는 무려 38.2%를 차지했다. 산학협력중점교수를 비정년트랙으로 대폭 뽑았고, 외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외국인 교수와 교양 과목 등을 담당하는 강의전담교수를 비정년트랙으로 임용하는 대학이 늘어난 것이다.

고등교육법 개정에 따라 산학협력이나 강의, 연구를 전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담교수제도를 운영하는 대학이 늘었는데, 이들을 비정년트랙으로 뽑고 있는 것이다. 내년 1월부터 시행 예정인 ‘강사제도’와 비정년트랙 문제는 교수사회의 비정규직화 현상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반값 등록금’ 정책에 따른 재정 악화도 한 몫을 한다.

여교수 비율은 26%에서 27.5%로 꾸준히 늘고 있고, 올해 상반기엔 처음으로 30%를 넘어서기도 했다. 모교 출신은 외국인 교수 확대 등으로 줄어들고 있다.

김봉억 기자 bong@kyosu.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